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6-08 09:26:05      ·조회수 : 3,131     

올해산 노지감귤의 품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개화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센터장 김명환)가 조사 발표한 과일관측 자료에 따르면 개화기 저온이 지속되면서 노지감귤의 최초 개화일과 만개일은 평년보다 각각 7일 늦은 지난 5월 14일과 5월 22일로 조사됐다.



올해 노지감귤의 꽃수는 해거리 현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의 전체 생산량은 적정 생산량인 58만t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작년보다 29% 증가했고, 제주시가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4% 감소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은 출뢰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이 짧아 꽃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처럼 평년보다 개화시가가 늦어지면서 생리낙과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6월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더뎅이병 감염 위험이 높은 데다 강풍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궤양병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차 생리낙과가 진행되면서 검은점무늬병 1차 방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는 이와 관련, “앞으로 1·2차 자연 낙과와 비대기 및 수확기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화가 있겠지만 품질 관리를 위한 농가들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이 지난달 11일부터 20일까지 조사요원 336명을 동원해 도내 감귤원 457곳을 표본으로 화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60만4000~64만8000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적정 생산량 수준인 58만t과 비교하면 최소 4.1%, 최대 11.7% 많아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수치다.



문의 농촌경제연구원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336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919 쌀 개방대상서 제외될듯 기획정보과 2007-03-06 2569
91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8차 협상 전망]쌀개방 제외 감귤류는 ? 기획정보과 2007-03-06 2817
917 감귤원 간벌 설득 분주 기획정보과 2007-03-06 2438
916 감귤 4·5번과 경락가 최고 기획정보과 2007-03-06 2744
915 비현실적 감귤제도 개선 감감 기획정보과 2007-03-05 2477
914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기획정보과 2007-03-05 2828
913 감귤꽃눈 분화율 적정수준 넘어 기획정보과 2007-03-05 3296
912 FTA민간지원委 ‘얼빠진 홍보’ 기획정보과 2007-03-05 2593
911 한미 FTA 감귤지위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3-05 2570
910 한라봉재배, 심기일전 새로운 마음으로 기획정보과 2007-03-05 2662
909 노지감귤 조수입 5400억 ‘사상최대’ 기획정보과 2007-03-05 2637
908 ‘감귤로 번 돈 빚부터 갚고 보자’ 기획정보과 2007-03-05 2747
907 농가참여 저조한 감귤원 1/2간벌 기획정보과 2007-02-27 2417
906 한라봉 이미지 회복...생산자 단체 나선다 기획정보과 2007-02-26 2959
905 감귤소득 기대 못미쳐 기획정보과 2007-02-26 2805
904 한라봉`품질인증제 도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07-02-26 3905
903 농협, 명품 ‘한라봉’ 대대적 홍보 기획정보과 2007-02-26 3221
902 간벌 실적 부진 비상 기획정보과 2007-02-26 2907
901 감귤상자 디자인 개선 주문 기획정보과 2007-02-23 2806
900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건의키로 기획정보과 2007-02-22 239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