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4 15:27:38      ·조회수 : 2,497     

<p></p>
<font size="5"><b>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b></font>

<font size="4" color="blue">특별도의회 "실현 가능성 희박"

제주도 "FTA대비 경쟁력 향상"</font>

<font size="3">한라일보 12/4 백금탁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중인 미숙감귤을 이용한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사업에 대

해 도의회 차원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현재 이 사업과 관련 미국의 MIT공대와 공동연구하고 있는 국책

사업이라고 맞서고 있다.

 3일 제주도의회 현우범 의원과 국내 연구진, 감귤 관련 전문가 등은 제주자치도

가 올해부터 오는 2010년까지 4년간 총 10억9천만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에 대해 이

미 1980년대에 연구된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이 사업과 관련 제주도는 최근 FTA와 WTO 등 농산물 개방에 따른 국제 경

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미

숙감귤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다 첨단 바이오기술을 적용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개발할 계획을 수립했다.

 감귤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변환기술(컨버터

기술)을 이용해 신기능성 물질을 개발, 산업화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1단계 기초조사와 2단계 산업화 연구개발 사업으로 나눠 모

두 10억9천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제주대학교, 하이테크산업진흥원, 농업기술원,

MIT공대 등 국내·외 첨단연구팀이 공동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우범 의원은 지난 1일 2007년도 지식산업국 등에 대한 예산

안 심사에서 "올해 확보된 이 사업의 1단계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 가능성 조사연

구'에 대한 사업비 1억원은 카이스트 연구진과 감귤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2

천만원이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제주도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

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또 현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개발하려는 기능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헤스페리

딘, 나리루틴, 노빌레틴 등은 감귤이외에 다른 식물 등에도 다량 함유된 물질"이

며 "도내 감귤박에 대한 전문가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이 연구는 이미 지난 80·90년

대 중반에 이뤄진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이 사업과 관련 논란이 제기되며 실효성 문제에 있어 정확한 재검토와 함

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99 제주은행 감귤작목주주제 ‘호응’ 기획정보과 2007-02-22 2971
898 올 노지감귤 전망 불안 기획정보과 2007-02-22 2741
897 감귤박물관에 아열대식물원 기획정보과 2007-02-20 3022
896 "제주감귤 민감성 전달" 기획정보과 2007-02-20 3200
895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 역량 결집할 것” 기획정보과 2007-02-16 2965
894 감귤류 ‘계절관세’ 도입 검토 기획정보과 2007-02-16 3095
893 감귤이용 건강제품 기술 이전 기획정보과 2007-02-16 2682
892 감귤사수 '살얼음판' 기획정보과 2007-02-15 2552
891 한라봉 가격 3개월만에 오름세 기획정보과 2007-02-15 2994
890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5 2509
889 도 친환경농축산국 등 간벌 일손돕기 전개 기획정보과 2007-02-14 2580
888 관광산업 병폐 ‘고쳐야 산다’ 기획정보과 2007-02-14 2616
887 비상품 한라봉 유통행위 적발 기획정보과 2007-02-14 2491
886 '주먹구구식' 간벌 집중 질타 기획정보과 2007-02-14 2423
885 감귤류 향방 ‘최고위급’서 결정 기획정보과 2007-02-14 2290
884 2006년산 노지감귤 유통명령 조기 해제 기획정보과 2007-02-13 2223
883 감귤 한 상자 기획정보과 2007-02-13 2736
882 한·미FTA 7차협상 美國 워싱턴서 12일 개막 기획정보과 2007-02-12 2901
881 미숙감귤 기능성물질 추출 기획정보과 2007-02-12 2929
880 감귤 양허안 향방 ‘촉각’ 기획정보과 2007-02-12 220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