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정부, 한·중 FTA까지 서두를 셈인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20 15:04:27      ·조회수 : 2,822     

수입개방의 파고가 갈수록 태산이다. 미국, EU(유럽연합)와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한 데 이어 중국과도 협상을 본격화할 조짐이다. 정부가 이르면 내달 중 한·중 FTA 협상 개시를 선언할 예정이라 한다. 가뜩이나 여러 국가와 FTA를 잇따라 체결해 제주의 1차산업이 심란해 있다. 그런데 이제는 그보다 후폭풍이 거센 대형 쓰나미가 예고돼 있다. 숨 돌릴 사이도 없이 몰아치는 ‘FTA 펀치’에 농업계가 그로기 상태다.

본란에서 거론한 바 있지만, 한·중 FTA는 제주의 1차 산업에 엄청난 파장을 불러올 것임에 틀림없다. 그렇잖아도 제주를 비롯한 우리나라 1차산업은 중국산 농산물에 점령당해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이런 마당에 관세마저 철폐돼 중국산이 물밀듯이 수입된다면 그 결과는 뻔할 뻔자다. 특히 제주의 생명산업인 감귤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대하다. 한국농촌경제원 조사 결과 지난 2009년 기준 중국 감귤은 96만t을 수출(전 세계 물량의 42.6%)해 온주 밀감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매김했다. 한·중 FTA가 미국이나 EU 등 여타 국가와의 FTA와는 그 차원이 다를 것으로 보는데 이론의 여지가 없다.

이렇듯 한·중 FTA는 제주 1차 산업의 근간을 흔들리게 할 회오리인데, 정부는 오히려 속도를 내고 있으니 제주 입장에선 팔짝 뛸 일이다.

물론 그 필요성을 모르는 바 아니다. 중국은 13억 인구를 거느린 거대 시장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4%에 달할 정도로 교역규모가 엄청나다. 따라서 세계 최대시장인 중국과의 FTA 체결은 우리 수출산업, 더 나아가 한국경제에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빛이 있으면 그늘이 있기 마련이다. 여타 FTA가 그렇듯이 희생양은 1차 산업, 특히 농업분야다. 따라서 정부가 FTA 추진으로 인해 초래되는 관련 산업의 부정적 영향과 그 피해에 대해서도 충분한 검토가 선행돼야 한다. 중국과의 FTA를 서두르기보다는 신중하게 접근하도록 주문하는 이유다. 그렇지 않고 성과에 집착하듯 밀어붙이기식으로 할 바엔 차라리 농업분야를 빼서 추진하는 게 경우에 맞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59 간벌 비협조 예산지원 보류 기획정보과 2007-02-02 2214
858 [농민신문]설 저장과일값 어떻게中..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2638
857 [수입오렌지]“오렌지 값 너무 비싸”… 국산 과일 ‘싱글벙글’ 기획정보과 2007-02-01 4000
856 맛좋은 감귤 영원한 숙제 기획정보과 2007-02-01 3250
855 일년에 1인당 감귤 674개 소비 기획정보과 2007-02-01 2769
854 [백록담]경계해야 할 중국산 감귤 기획정보과 2007-02-01 3207
853 <나의의견>2007년 노지감귤, 간벌로 시작하자 기획정보과 2007-02-01 2866
852 [포토뉴스]“제주감귤 드세요” 기획정보과 2007-02-01 2295
851 감귤 선호도 사과·배에 밀린다 기획정보과 2007-02-01 2423
850 [포토뉴스]노형동 감귤원 간벌 박차 기획정보과 2007-02-01 2327
849 '탑프루트' 감귤 인기 최고 기획정보과 2007-01-31 2571
848 감귤 러시아수출 전망 밝다 기획정보과 2007-01-31 2327
847 “맛 좋으면 가격은 큰 문제 아니” 기획정보과 2007-01-31 2506
846 감귤원 1/2간벌 목표달성 다짐 결의대회 기획정보과 2007-01-30 2187
845 '하우스감귤, 포기 안한다' 기획정보과 2007-01-30 2289
844 중국 감귤, 거대 공룡으로 진화 기획정보과 2007-01-30 2708
843 중국산 감귤 제주産 위협 기획정보과 2007-01-30 2430
842 [열린마당]간벌 참여는 감귤의 경쟁력을 키운다 기획정보과 2007-01-30 2159
841 [편집국25時]'農政' 감귤이 전부는 아니다 기획정보과 2007-01-30 2115
840 한라봉 인기 하락…저급품 원인 기획정보과 2007-01-30 216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