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03:29      ·조회수 : 2,959     

<p></p>
<font size="5"><b>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b></font>
<p></p>
<font size="4">행위자 없으면 적발해도 페기처분 못해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0/5 조문욱 기자

추석을 앞두고 노지감귤 강제 착색행위가 서서히 고개를 드는 가운데 이같은

위법행위에 대한 적절한 제재방안이 마련돼 있지 않고 있어 행정력 낭비만

초래하고 있다.

제주시는 지난 3일 노형동 화랑마을 소재 감귤원에서 극조생 노지감귤 5000여

㎏을 비닐로 씌워 에틸렌가스를 주입, 강제 착색하는 현장을 적발했다.

제주시에 따르면 이 감귤은 감귤원 소유자 A씨는 상인에게 400여 만원을 받고

포전 거래한 것으로 현재 A씨는 상인의 인적사항과 연락처를 기록해 두지 않아

상인이 누군지 모른다고 하고 있다는 것.

강제 착색 행위자를 찾지 못한 제주시는 마을책임자를 입회시켜 착색행위 확인을

받고 현장을 보존하고 현재 직원을 상주시키고 있는 상태이다.

제주시 관계자는 “제주도감귤유통 조례상 불법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불법

행위를 적발해도 이를 직권 처리할 수 없는 상태”라고 말했다. 즉 사유재산권이라

는 걸림돌 때문에 불법행위물이지만 폐기처분 등 행정처리를 하지 못해 지켜보고

만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노형동의 사례처럼 불법행위 현장이 적발됐지만 행위자가 나타나지

않아 행위자가 나타날 때까지 직원을 대기시켜야 하는 행정력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지난 9월 29일 올해 첫 미숙감귤 수확현장을 적발, 폐기처분한 것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한편 4일에도 제주시에 덜 익은 감귤을 수확 한다는 제보가 들어와 현장 확인

결과 당도가 출하 규정(8브릭스) 이상으로 나오자 착색이 될 때까지 수확 연기를

당부하고 돌아왔으며 현재까지 도내에서 3건의 비상품감귤 유통행위가 적발됐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39 김 지사, “한미FTA 7차 협상 때 미국 가겠다” 기획정보과 2007-01-30 2210
838 감귤 가온재배 포기농가 줄어 기획정보과 2007-01-30 2952
837 북한산 정상 휘감는 ‘감귤 사랑, 고향 사랑’ 기획정보과 2007-01-30 3167
836 감귤 가격 “요즘만 같아라” 기획정보과 2007-01-30 2174
835 한라봉 품질인증제 도입돼야 기획정보과 2007-01-26 3178
834 [사설]근시안적 감귤원 폐원 정책 기획정보과 2007-01-26 2664
833 저급 한라봉 판친다 기획정보과 2007-01-26 2878
832 감귤 팔아 넘긴 30대입건 기획정보과 2007-01-26 3017
831 한라봉 위기직면 기획정보과 2007-01-26 2487
830 한라봉 제값 받읍시다 기획정보과 2007-01-25 2944
829 감귤간벌 농가의지가 관건 기획정보과 2007-01-25 2796
828 제주도"한라봉 출하 품질기준 지켜주세요" 기획정보과 2007-01-25 2764
827 [와이드] 실패한 농정,예산낭비 악순환 기획정보과 2007-01-25 2458
826 공항 출국장 면세점 지역특산물 외면 기획정보과 2007-01-25 2985
825 관세철폐시 美오렌지 수입 갑절 증가 기획정보과 2007-01-25 2947
824 고품질 감귤생산위해 토양피복사업 전개 기획정보과 2007-01-25 2494
823 크린영농조합법인 광센서 이용 고소득 기획정보과 2007-01-25 3067
822 소포장 출하'완전 정착' 기획정보과 2007-01-25 2642
821 당.산도 균일 감귤 출하 기획정보과 2007-01-24 2143
820 맛 좋은 감귤위해 간벌 기획정보과 2007-01-24 220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