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9 11:03:25      ·조회수 : 2,415     

<p></p>
<b><font size="5">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b></font>

<font size="3">한라일보 11/27

감귤산업 위주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정책이 도의회의 '도마'위에 올랐다. 수십년동

안의 관행(慣行)과 구태(舊態)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농업현실에 대한 도의원들

의 질타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도농업기술원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우선 감귤원 폐원사업

을 '절반의 성공' 더 나아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했다. 지난 2004년부터 대대적

인 폐원사업으로 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성공했다고 자화자찬(自畵自讚) 하지

만,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

 한 의원은 2천여㏊의 감귤원을 폐원하고 그 폐원지에 다른 밭작물을 심은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땅한 대체작목 부재로 소득은 커녕, 나머지 밭농사 위주의 농가들에

게 가격 하락 등 '비수(匕首)를 꽂는'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감귤은 관광과 더불어 제주경제의 2대 축(軸)이자 '생명산업(生命産業)'임에 틀림

없다. 조수입만 하더라도 한해 6천여억원(2005년도 기준)으로 도내 전체 농·축산업

조수입(1조6천1백40억원)의 37%를 점하고 있다. 농산물(1조1천4백20억원)에만 국

한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져 무려 52%에 달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감귤이 차지하는 비중 때문에 지난 수십년간 '성역시(聖域視)' 하여 보호

위주의 정책을 펼침으로써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은 주목할만 하

다. 감귤산업이 살 길은 적정생산이 관건(關鍵)이다. 문제는 그동안 타 작물을 홀대

함으로써 폐원 등을 통해 마땅하게 전환할 작목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자치도의 농업정책은 이제 전환이 필요하다. 감귤산업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해서도 타 작목의 동반 육성 및 성장은 필수적이다. 상생(相生)의 정책만이

감귤도, 농업 전반도 살아남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19 노지감귤 유통비용이 48% 차지 기획정보과 2007-01-24 2693
818 [열린마당]감귤경쟁력이 무기는 기획정보과 2007-01-24 2160
817 썩는 저장감귤 엄청나다 기획정보과 2007-01-24 2484
816 감귤 제값받기 감벌사업 기획정보과 2007-01-24 2486
815 제주 감귤,당근北으로 기획정보과 2007-01-24 3012
814 [감귤 100년 위기를 기회로](4)판매연합조직 기획정보과 2007-01-23 2845
813 간벌참여는 감귤 경쟁력 키우는 일 기획정보과 2007-01-23 2966
812 북한 보낼 감귤 어디 없나요? 기획정보과 2007-01-23 2501
811 제주감귤 잘 나간다 기획정보과 2007-01-23 2696
810 [기사]뚱뚱한 사람에겐 귤보다 껍질이 '보약'! 기획정보과 2007-01-22 2931
809 감귤이 세계 과일과 경쟁할 수 있는 힘은 간벌 관리자 2007-01-22 2655
808 상승세 감귤가격 변수는 저장물량 관리자 2007-01-22 2390
807 "감귤도 보고 마라톤도…" 관리자 2007-01-22 2507
806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관리자 2007-01-22 2042
805 노지감귤값 최고가 행진 관리자 2007-01-22 2692
804 "한라봉 명성 되찾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587
803 노지감귤가격 강세 지속 기획정보과 2007-01-19 2290
802 감귤FTA협상품목 제외 난항 기획정보과 2007-01-19 2159
801 [기고]감귤, 맛으로 도전하자 기획정보과 2007-01-19 2258
800 기상이변에 품질 하락 ‘복병’ 등장 - 감귤값 상승 ‘발목’ 우려 관리자 2007-01-18 210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