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4 12:52:55      ·조회수 : 2,999     

<p></p>
<font size="5"><b>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b></font>

<font size="4" color="blue">매년 증가불구 체납자 70% 재산조회 안돼 </font>

<font size="3">제민일보 11/3 김경필 기자

불량감귤 유통행위에 따른 과태료 체납액이 매년 불어나고 있지만 제주특별자치도

의 과태료 체납액 징수 체계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과태료 체납자의 절반 이상이 타인 명의로 재산을 등록해두고 감귤유통 위반행위를

저지르는 등 도의 재산압류 등 강제조치를 교묘히 피해가고 있기 때문이다.

도에 따르면 감귤유통명령 위반에 따른 과태료 체납액은 지난 2003년 7260만원,

2004년 4140만원, 2005년 1억86100만원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과태료 부과액 3억1200만원의 32%인 1억여원이 매년 체납액으로 누적되고

있는 것이다.

도가 체납자를 대상으로 재산압류 등 강제징수 조치를 통해 체납액 줄이기에 나서보

지만 이렇다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체납자의 상당수가 자신의 명의로 등록

한 재산이 없기 때문이다.

도가 2003년 85건, 2004년 41건 등 과태료를 체납한 126건을 대상으로 체납자에 대

한 재산조회를 벌였지만 70%에 이르는 체납자의 재산기록은 찾을 수 없었다.

이처럼 과태료 체납액 징수 체계에 허점이 드러나면서 이를 악용, 불량감귤을 유통

하는 행위가 끊이지 않을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때문에 감귤 하락의 원인이 되는 불량감귤 유통을 전면 차단하기 위한 행정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도 관계자는 “과태료 체납자를 대상으로 재산압류 등의 조치를 취해도 재산이 없으

면 강제징수가 불가능하다”며 “체납액 누적의 주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9 [사설]감귤만은 끝까지 지켜내야 관리자 2007-01-17 2361
798 [열린마당]한라봉을 감귤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자 관리자 2007-01-17 2482
797 농산물 민감품목 논의 본격화 관리자 2007-01-17 2217
796 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관리자 2007-01-17 2875
795 친환경 농업 비료라더니… 관리자 2007-01-17 2919
794 감귤류 FTA 협상 제외 촉구키로 관리자 2007-01-17 3225
793 [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 관리자 2007-01-17 2574
792 특별자치도, 1/2 간벌 추진 총력전 관리자 2007-01-17 2904
791 올 감귤분야 488억원 투자 관리자 2007-01-17 2336
790 농업분야 쟁점…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7-01-17 2362
789 2003년 이후 감귤 품질 만족도 ‘양호’ 관리자 2007-01-17 2474
788 선과장 발생 부패 감귤 매립장 반입 추진키로 관리자 2007-01-17 2504
787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추진 관리자 2007-01-17 2389
786 5월부터 감귤원 355㏊ 폐원·간벌 관리자 2007-01-17 2055
785 한미FTA, 감귤류 향방 촉각 집중 관리자 2007-01-10 2181
784 감귤유통 대형화‘시동’ 관리자 2007-01-10 2599
783 감귤 유통 조직 보완 시급 관리자 2007-01-08 2255
782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관리자 2007-01-08 3316
781 감귤도 개방대상 포함되나 ‘촉각’ 관리자 2007-01-08 2952
780 "감귤을 얼렸다고?"…냉동감귤 일본 수출 관리자 2007-01-05 29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