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17 19:22:23      ·조회수 : 2,872     

<p></p>
<font size="5"><b>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b></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7 김재범 기자

국가기관인 농촌진흥청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에서 독립한 감귤시험장이 오는 7월

새롭게 출발한다.

그런데 감귤시험장이 감귤 신품종 조기 육성과 연구 개발 전담 등 효과를 거두기 위

해서는 전문가 배치, 인력 확충, 체계적인 연구시스템 구축 등이 요구되고 있다.

난지농업연구소에 따르면 감귤시험장은 직제 개편에 따라 오는 7월 정원이 현재 감

귤과 16명에서 연구관과 연구사, 6급 행정직 각 1명 등 모두 3명이 늘어난 19명의 직

원으로 운영된다.

또 시험장장은 과장(연구관) 정원을 활용토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민사회에서는 감귤시험장이 과연 감귤농가를 비롯한 도민들의 기대를

제대로 충족시킬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도 전하고 있다.

실제 1991년 농촌진흥청 산하에 제주감귤연구소가 신설된후 2002년 현재의 조직으

로 축소된 가운데 감귤에 대한 육종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더구나 제주도 등은 정원이 33명인 감귤육종연구소로의 확대 개편을 꾸준히 건의해

왔지만 정부는 기구개편만 수용하고 증원 규모는 축소시켰다.

이와관련 제주도와 농업인들사이에서는 감귤 전문가 우선 배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의회 김용하의원은 16일 “시험장장은 연구사업의 선두 지휘 뿐만아

니라 감귤산업의 방향을 조정할수 있어야하는 만큼 적격자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공

모절차를 밟는 것도 검토해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신품종 육성을 위한 로드맵 구축, 감귤 전문가로 구성된 가칭 품종위원회

구성 및 심의, 품질향상 매뉴얼 마련 등도 절실해지고 있다.

한편 한국은 2002년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에 가입함에 따라 2009년부터 신품종

에 대한 개발권자의 권리는 물론 품종 사용에 따른 로열티를 지급해야하는 상황인데

다 한미FTA(자유무역협정) 협상 타결시 시장 개방 우려 등이 제기, 감귤산업 경쟁

력 강화 방안 마련이 시급해지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99 [사설]감귤만은 끝까지 지켜내야 관리자 2007-01-17 2343
798 [열린마당]한라봉을 감귤최고의 브랜드로 만들자 관리자 2007-01-17 2465
797 농산물 민감품목 논의 본격화 관리자 2007-01-17 2203
감귤시험장 7월 출범...전문가 배치 절실 관리자 2007-01-17 2872
795 친환경 농업 비료라더니… 관리자 2007-01-17 2897
794 감귤류 FTA 협상 제외 촉구키로 관리자 2007-01-17 3204
793 [기획] 관광·감귤 등 주력산업 경쟁력 강화 급선무 관리자 2007-01-17 2560
792 특별자치도, 1/2 간벌 추진 총력전 관리자 2007-01-17 2891
791 올 감귤분야 488억원 투자 관리자 2007-01-17 2317
790 농업분야 쟁점…감귤 ‘분수령’ 관리자 2007-01-17 2343
789 2003년 이후 감귤 품질 만족도 ‘양호’ 관리자 2007-01-17 2471
788 선과장 발생 부패 감귤 매립장 반입 추진키로 관리자 2007-01-17 2503
787 제주산 농산물 북한보내기 추진 관리자 2007-01-17 2371
786 5월부터 감귤원 355㏊ 폐원·간벌 관리자 2007-01-17 2042
785 한미FTA, 감귤류 향방 촉각 집중 관리자 2007-01-10 2157
784 감귤유통 대형화‘시동’ 관리자 2007-01-10 2575
783 감귤 유통 조직 보완 시급 관리자 2007-01-08 2242
782 “몸에 좋은 감귤와인 맛보세요” 관리자 2007-01-08 3297
781 감귤도 개방대상 포함되나 ‘촉각’ 관리자 2007-01-08 2938
780 "감귤을 얼렸다고?"…냉동감귤 일본 수출 관리자 2007-01-05 294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