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5-30 17:17:03      ·조회수 : 2,722     

올해 노지감귤 많이 열려야 52만톤!
감귤개화상황 조사결과, 생산예상량 48만~51만9000톤 전망
작년 71% 수준…착과율 향상 위한 새순솎기·방제 철저 당부



올해산 노지감귤은 많이 열려야 52만톤을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강지용)와 제주도 농업기술원이 합동으로 올해 감귤생산예상량 관측조사 결과, 48만5000~51만9000톤 정도 생산될 것으로 관측됐다.

지난해 1차 관측조사 발표 때는 최소 56만8000톤에서 최대 60만6000톤으로 발표됐다.

이번 조사는 꽃이 핀 정도를 통해 이뤘다. 조사대상 감귤원에 2그루를 선정해 동서남북 4방향 가지의 꽃수와 묵은 잎 수를 세어 화엽비를 조사했다.

조사결과, 화엽비는 0.58개(적정 0.7개)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도 0.81개, 평년 0.80개보다 각각 71.6%, 72.5% 수준에 머물렀다.

이처럼 꽃이 적은 요인은 지난해 풍작과 늦은 수확에 따른 나무의 힘(수세)이 약해진데다 올 들어 1~2월 추운 날씨가 많아 조기낙엽과 꽃눈이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2차례에 걸친 생리적 낙과와 장마철 기상여건 등에 따라 생산량은 변동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감귤 착과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6월 상순까지 새순 솎기, 농약 살포, 병해충 방제 등을 중점적으로 실천해야 할 것으로 감귤당국은 당부했다.

이와 관련 강지용 감귤관측조사위원장은 “올해 개화 상황은 과수원과 나무별로 꽃핀 양이 극히 적거나 남아 뚜렷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난 것이 큰 특징”이라며 “착과율 향상을 위한 농가에서의 새순 솎기와 병해충 방제 등의 자구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농업기술원은 오는 8월 하순에 감귤 착과율을 조사한 후 제2차 감귤생산예산량을 발표할 예정이다.<제주의소리>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79 구멍뚫린 제주항 검문검색 관리자 2007-01-05 3561
778 외국산 과일류 '봇물' 관리자 2007-01-05 5751
777 고한철 감귤출하연합회 사무국장 관리자 2007-01-05 3236
776 올해 간벌 목표 760㏊ 잠정 확정 관리자 2007-01-05 2889
775 청정 제주 외래병해충 유입‘비상’ 관리자 2007-01-05 2457
774 가공용 감귤, 처리 대란오나? 관리자 2007-01-04 4505
773 [사설]제주명품 ‘한라봉’ 이대론 안 된다 관리자 2007-01-04 3684
772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3부:유럽 시장을 가다 관리자 2007-01-04 6625
771 [희망!제주2007]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 관리자 2007-01-04 3627
770 삼다수·감귤 물류혁신 시동 관리자 2007-01-04 2586
769 감귤가격`강보합세 전망 관리자 2007-01-04 2426
768 올 제주경제 '흐리다 서서히 갬' 관리자 2006-12-31 3217
767 왁스코팅 금지 추진 “잘될까?” 관리자 2006-12-31 3081
766 올해산 노지감귤 출하자금 본격 유입 관리자 2006-12-31 2631
765 가공용감귤 수매량 당분간 30% 감축 관리자 2006-12-28 2624
764 국회에서“감귤 사세요” 관리자 2006-12-28 3150
763 올해도 제주산 농산물 북한 간다 관리자 2006-12-28 2411
762 한미 FTA 속도 빨라지나 관리자 2006-12-28 2576
761 FTA 기금 지원 영세농 소외 관리자 2006-12-27 3069
760 한라봉 유통조례 '유명무실' 관리자 2006-12-27 234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