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09 16:26:21      ·조회수 : 2,339     

<p></p>
<font size="5"><b>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b></font>
<p></p>
<font size="3">제주일보 10/5

올해 산 제주감귤의 고품질화와 제 값 받기에 기대와 개탄스러움이 교차된다.

먼저 기대가 되는 것은 박홍수 농림부장관의 긍정입장 피력으로 올해도 감귤유통명

령제가 빠르면 이달 말 발령될 것 같다는 본지의 지난 4일자 희망적인 보도 내용이

다.

물론 농림부의 실무검토와 유통명령심의위원회에 이어 최종단계인 공정거래위원회

와 협의 등 핵심적인 절차를 남겨 놓고 있다.

따라서 도 당국은 이들 기관과의 협의과정에 효과적인 논리로 대처하기 바란다.

문제는 오는 15일 올해 산 노지감귤 첫 출하를 앞두고, ‘양심불량 감귤’이 고개를

내미는 등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는 점이다.

제주도 감귤출하연합회는 지난 2일 서울 영등포구 재래시장에서 10㎏들이 41상자

물량의 극조생 비상품 감귤을 적발하고 판매중단 조치와 함께 생산자 및 유통과정

을 추적하고 있다고 밝혔다.

도외 시장에서 비상품 판매를 적발하기는 올 들어 처음이다.

이에 앞서 지난달 말 제주시 애월읍 소재 모 감귤원에서도 미숙과 출하현장이 도내

서 첫 적발됐다.

참으로 어처구니없고 개탄스러운 일이다.

추석 대목을 노린 얄팍한 상술은 한마디로 제주감귤 자해(自害) 행위다.

수입 개방시대에 제주감귤 살리기는 고품질 유통혁신 뿐이고, 그러기 위해서는

비상품 출하를 원천 금지할 것을 다짐한 대다수 농가들까지 공분(公憤)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게다가 감귤 산지유통인(상인)들이 사상 처음으로 비상품 출하 금지 결의대회를

가진 지 불과 열흘도 안 됐다.

선량한 농가와 도민 그리고 소비자를 우롱하는 다짐대회가 돼 버린 셈이다.

비록 일부에 국한된 사안이지만 묵과할 수 없다.

맛있는 고품질 제주감귤의 이미지 추락은 물어보나 마다다.

더 이상은 제주감귤을 공멸(共滅)로 이끌 뿐이다.

지역경제의 거대 축이 무너진다.

당국은 단속반을 총동원, 비상품 불법 출하를 조기차단하기 바란다.

강력한 응징과 함께 도민적 감시기능도 가동돼야할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59 수출 감귤, 해결과제도 산적 관리자 2006-12-27 2663
758 "감귤, 맛과 질로 승부해야"...품질별 가격차 커 관리자 2006-12-27 2496
757 [기고]한미 FTA와 제주감귤산업 관리자 2006-12-27 3176
756 [감귤100년 위기를 기회로](4)특산화.규모화 서두르자 관리자 2006-12-27 2835
755 감귤박 보관창고 붕괴...주변 교통 대혼란 관리자 2006-12-27 3731
754 시베리아 감귤수출 과제 산적 관리자 2006-12-27 4076
753 비상품 감귤 처리 ‘비상’ 관리자 2006-12-27 3346
752 감귤가공체험 관광상품 가능성 관리자 2006-12-27 2309
751 비상품 감귤 단속, 항만에선 속수무책 관리자 2006-12-27 3158
750 비상품 감귤 유통 더 이상은 共滅이다 관리자 2006-12-27 2293
749 인천지역 여성단체 감귤수확 체험 관리자 2006-12-27 2350
748 부패감귤 처리대책 시급 관리자 2006-12-27 2860
747 [사설] 과태료 부과돼도 버티기만 하면 "그만' 관리자 2006-12-21 2331
746 끊이지 않는 비상품 감귤 유통 관리자 2006-12-21 2337
745 한림항 비상품감귤 단속 관리자 2006-12-21 2462
744 비상품감귤1,200상자 반출 업자 적발 관리자 2006-12-21 2178
743 감귤가격 호조세 비상품 유통 속출 관리자 2006-12-21 2348
742 주인 없는 틈 타 감귤 훔쳐 관리자 2006-12-21 2676
741 비상품감귤 유통행위 여전 관리자 2006-12-21 2902
740 농업인 작목 ·지역별로 질환 달라 관리자 2006-12-21 251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