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사수 최대 분수령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8 18:12:29      ·조회수 : 2,879     

감귤사수 최대 분수령
[긴급점검/한·미FTA 제주협상 ‘태풍의 눈’(上)]
한라일보 9/28 강시영 기자
4차협상 10월 23∼27일 중문단지 확정
 정부가 27일 한·미 FTA협상의 분수령이 될 10월 4차협상(23∼27)을 제주에서 개최키로 확정 발표함에 따라 제주사회에 ‘태풍의 눈’으로 떠올랐다.
 외교통상부는 이날 공식 브리핑을 통해 “지난 제1, 2차 한미FTA협상이 각각 워싱턴 D.C와 서울에서 개최됐으며, 제3차 협상이 시애틀에서 개최된 점을 감안, 10월 23∼27일로 예정된 제4차 협상을 지방에서 개최키로 결정했으며, 구체적인 장소로 제주 중문단지를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4차협상 장소로는 서로 인접거리에 있는 제주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당초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하는 방안을 검토, 실사까지 마쳤으나 협상기간 농민단체 등의 대규모 시위가 예상됨에 따라 한·미 양국 대표단과 시위대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신라호텔과 하얏트호텔로 변경한 것으로 전해졌다.
 4차 협상에는 우리측 김종훈 수석대표를 비롯 정 부처 등 1백62명의 협상단이 참석하게 되고, 미국측에서는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를 포함해 모두 1백30명 안팎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감귤 최대 관심=제주의 최대 관심은 감귤분야 개방협상이다. 감귤은 한·미 양국이 지난 8월 중순 교환한 우리측 양허(개방)안에 관세철폐 예외품목에 포함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미국은 농산물분야의 경우 ‘예외없는 관세철폐’를 주장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미국측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감귤을 민감품목으로 분류, 민감성 보호를 위해 지속적으로 협상에 임할 지가 최대 관심사이다.
 특히 4차협상 개최지로 제주를 최종 낙점하면서 제주도와 정부 사이에 감귤 보호에 대한 별도의 교감이 있었는지도 주목된다.
 이와관련 김종훈 한미FTA 우리측 수석대표가 최근 4차협상 제주 개최와 관련 김 지사에게 전화를 걸어 양해를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는데 이 과정에서 김 지사가 제주감귤보호를 김 대표에게 강력하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제주사회에는 한미 FTA 4차협상 제주개최를 둘러싼 우려가 확산되는가 하면 제주개최를 감귤 보호를 위해 전략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왜 제주를 택했나=정부 협상단은 제주가 안전은 물론 경관적으로도 협상 개최 적격지로 판단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정부는 4차 협상장소로 서울이 아닌 부산과 제주를 놓고 고심한 끝에 부산 벡스코가 도심지 한 가운데 있어 반대시위를 비롯한 협상단의 안전확보에 적지않은 문제점을 노출할 것을 우려해 최종 개최지로 제주를 낙점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정부가 아태 정상회의인 APEC은 제주와 경합끝에 부산에 내주고 대규모 시위가 예상되는 FTA협상은 제주서 개최하려는 의도를 모르겠다는 반응까지 보이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39 “가공용 감귤수매 일손돕자” 관리자 2006-12-19 3442
738 왜 올해는 치고 올라가지 못하지? 관리자 2006-12-19 2611
737 감귤가격 '안오르네' 관리자 2006-12-19 2491
736 한림읍 지역단체, 추자에 감귤보내기운동 관리자 2006-12-19 3058
735 해군 제주방어사령부 장병들 감귤수확 일손돕기 ‘구슬땀’ 관리자 2006-12-19 2891
734 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관리자 2006-12-16 2459
733 감귤 축제’ 서울개최 95% 찬성 관리자 2006-12-16 2893
732 제주농협 고품질 감귤브랜드 ‘상한가’ 관리자 2006-12-14 2760
731 소비자 72% ‘올해산 노지감귤 만족’ 관리자 2006-12-14 2357
730 “감귤 협상품목 제외 관철 최선” 관리자 2006-12-14 2645
729 인기농산물 인기비결-하례감귤 관리자 2006-12-11 3415
728 김 지사 "제주감귤 최대 관심품목 이슈화" 관리자 2006-12-11 2688
727 '감귤운명' 내년초 판가름 관리자 2006-12-11 2290
726 노지·하우스감귤`줄고 월동감귤·한라봉 늘 듯 관리자 2006-12-11 3137
725 감귤 과태료 체납행위 갈수록 지능화 관리자 2006-12-11 2567
724 비상품감귤 차단 항만 ‘봉쇄’ 관리자 2006-12-10 2186
723 감귤 수출시장 다변화 ‘활발’ 관리자 2006-12-10 2750
722 감귤수확철 '쯔쯔가무시병' 요주의 관리자 2006-12-07 2751
721 도농업기술원, 부산 부녀회원 제주농촌 체험행사 마련 관리자 2006-12-07 3131
720 이달의 새농민상에 강수만·서미숙씨 부부 관리자 2006-12-07 23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