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11 10:57:05      ·조회수 : 2,757     

제주 감귤, 과거 100년과 미래 100년


오는 2011년은 제주특별자치도에 노지 온주밀감이 도입된지 100년이 되는 뜻 깊은 해이다. ‘제주 감귤 100년’은 보릿고개를 극복하고 ‘대학나무’로 불렸던 부흥기를 거치며 관광산업과 함께 오늘의 제주를 이룩해낸 역사적인 의미를 갖고 있다.

제주 감귤은 역사적으로 제주도민들의 삶에 매우 밀접한 영향을 끼쳐왔다. 조선시대의 감귤나무는 도민들에게 ‘고통을 주는 나무’로 도민들의 애환이 서려 있는 나무이기도 하다.

제주 감귤은 그 시원이 분명치 않으나 선사시대부터 자생해 온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탐라에서 세공하는 귤자의 수량을 개정한다는 고려 문종 6년(1052년)의 기록을 볼 때 이보다 휠씬 전부터 왕실에 공물로 바쳐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감귤은 왕실에서 제사용, 약용, 귀빈 접대용으로 귀중하게 취급했으며 그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관영 과수원이 여러 곳에서 운영된 기록이 있다. 그렇지만 감귤 재배는 관리들의 의한 것이 대부분이었으며 공납 물량이 연차적으로 증가하면서 지방 관리들의 횡포까지 가중돼 농민들은 감귤 재배를 회피했고 근대까지 감귤 재배가 민간 산업으로 발전하지 못했다.

개량 감귤은 한말 정치가이며 대신이었던 박영효에 의해 도입됐다고 전해진다. 그가 제주에 유배생활을 할 때 개량 감귤을 제주시 구남동(九南洞)에 심었다고 알려지고 있지만 그 기록과 재배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이후 1911년 프랑스 출신인 엄탁가(Esmile J. Touquet) 신부가 일본에 있는 친구에 제주자생 왕벗나무를 보내준 답례로 온주밀감(미장온주) 15그루를 기증받아 현 서귀포시 서홍동 소재 한국순교복자성직수도원 ‘면형의 집’에 심었는데 그때 심은 나무 중 한 그루가 아직도 남아 있다.

1955년까지 재배면적 20ha 미만이었던 감귤 재배면적은 1960년대부터 정부의 감귤증산 정책에 힘입어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했다. 이 때 제주 출신 재일교포들의 묘목 기증 운동이 제주 감귤 성장에 빛을 발했다. 1990년대 전반까지 꾸준한 늘어난 재배면적은 1998년 2만5860㏊를 정점으로 감귤산업 구조조정 계획에 의해 감소되고 있지만 2008년말 기준으로 2만937㏊에 이르고 있다.

감귤 조수입은 한때 제주도지역 총생산액(GRDP)의 15%를 차지할 정도로 제주의 생명산업으로 발전했다. 2000년대 들어 지역 총생산액 중 차지하는 비중은 6% 내외로 떨어졌지만 감귤은 여전히 제주의 지주산업이 되고 있으며 감귤 가격의 등락에 도민들의 희비가 교차되고 있다.

감귤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동맥경화나 고혈압 예방 뿐만 아니라 피부미용 및 피로회복에 뛰어난 효력을 지니고 있다. 간편하게 먹을 수 있어서 ‘캐주얼 과일’로 불리는 감귤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해마다 60만t씩 먹는 부동의 소비량 1위의 국민과일이다.

제주 감귤은 20세기초 산업적 의미의 재배가 시작된 이래 1세기를 맞아 대내외적으로 위기에 봉착해 있다. 최근 잇따르는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으로 완전개방에 직면한데다 경쟁력 약화 등으로 대전환의 기로에 서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 제주도는 제주를 감귤 랜드마크로 정착시키고 세계의 감귤로 도약하는 ‘100주년 기념사업’을 모색하고 있다. 국내외 홍보마케팅, 축제·이벤트, 학술대회, 신품종 발표회 등 다양한 사업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업 추진에 앞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있다. 그 것은 행정주도형 감귤정책이 시장경쟁의 원리에 입각한 방향으로 전환돼야 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정책 전환 시도는 그동안 몇 차례 실패를 거듭했다. ‘생산은 농가, 유통은 생산자단체, 기획·조정은 행정’이 책임지는 주체별 자율과 자립형 정책이 확립되지 않는다면 제주 감귤의 앞으로 가야 할 새로운 100년 비전은 한낱 공염불이 될 것이다.

제주일보 2009년 11월 11일 고경업 기자 guko@jejunews.com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39 “가공용 감귤수매 일손돕자” 관리자 2006-12-19 3442
738 왜 올해는 치고 올라가지 못하지? 관리자 2006-12-19 2611
737 감귤가격 '안오르네' 관리자 2006-12-19 2491
736 한림읍 지역단체, 추자에 감귤보내기운동 관리자 2006-12-19 3058
735 해군 제주방어사령부 장병들 감귤수확 일손돕기 ‘구슬땀’ 관리자 2006-12-19 2890
734 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관리자 2006-12-16 2458
733 감귤 축제’ 서울개최 95% 찬성 관리자 2006-12-16 2893
732 제주농협 고품질 감귤브랜드 ‘상한가’ 관리자 2006-12-14 2760
731 소비자 72% ‘올해산 노지감귤 만족’ 관리자 2006-12-14 2357
730 “감귤 협상품목 제외 관철 최선” 관리자 2006-12-14 2645
729 인기농산물 인기비결-하례감귤 관리자 2006-12-11 3415
728 김 지사 "제주감귤 최대 관심품목 이슈화" 관리자 2006-12-11 2688
727 '감귤운명' 내년초 판가름 관리자 2006-12-11 2289
726 노지·하우스감귤`줄고 월동감귤·한라봉 늘 듯 관리자 2006-12-11 3137
725 감귤 과태료 체납행위 갈수록 지능화 관리자 2006-12-11 2566
724 비상품감귤 차단 항만 ‘봉쇄’ 관리자 2006-12-10 2186
723 감귤 수출시장 다변화 ‘활발’ 관리자 2006-12-10 2750
722 감귤수확철 '쯔쯔가무시병' 요주의 관리자 2006-12-07 2751
721 도농업기술원, 부산 부녀회원 제주농촌 체험행사 마련 관리자 2006-12-07 3131
720 이달의 새농민상에 강수만·서미숙씨 부부 관리자 2006-12-07 23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