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09 12:16:59      ·조회수 : 2,164     

<p></p>
<b><font size="5">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font></b>

<font size="4">감귤특별대책위, 생과·가공품 등 구체적 대책 마련 촉구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1/8 김태형 기자

다음달초 미국 몬태나주에서 열리는 한미 FTA 5차 협상이 농산물 관세개방안 협상

의 최대 분수령이 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감귤류 품목별 향방에 촉각이 쏠리고 있다.

한미 FTA 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위원장 강지용)는 7일 오전 11시 도청 제2

청사 회의실에서 제7차 회의를 갖고 한미 FTA 5차 협상에 따른 대응방안을 논의했

다.

제주도는 이날 회의에서 이번 5차 협상에서는 농산물 분야와 관련, 품목별 개방시

기 등 양허범위에 대한 세부 논의가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특별긴급수입관세(SSG) 발동 범위와 함께 저율관세할당(TRQ) 운용방식에 있

어 우리 측의 관세율 및 물량 조정 여부도 쟁점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이로볼때 지

난 4차 제주 협상에서 예외품목 지정을 건의한 감귤류도 구체적으로 협상 테이블에

오를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재 국제통일상품분류시스템 기준(HS 기준)에 따른 감귤류 협상 세부품목

중 생과인 오렌지와 맨더린인 경우 민감품목에 포함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지만 오렌

지쥬스와 농축액, 감귤류 잼·제리 등 가공류 품목에 대해서는 어떤 지위를 갖고 있는

지 파악되지 않아 불안한 실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도 일부 위원들은 “감귤류 생과에 대한 관세를 현행대로 유지하는 대

신 가공품에 대한 시장을 먼저 개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와 함께 “이

같은 위협요인을 막기 위해 품목별로 민감도를 파악하고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위원들은 또 품목별로 구체화된 대책을 마련, 정부의 수정 개방안에 이를 반영시키

기 위한 중앙절충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19 “감귤 협상품목 제외 요청” 관리자 2006-12-07 3021
718 감귤류 협상 향방 ‘촉각’ 관리자 2006-12-07 2766
717 이달의 작목반에 효돈농협 과원감귤작목반 관리자 2006-12-07 2900
716 좀체 근절되지 않는 비상품감귤 유통 관리자 2006-12-07 3188
715 한·미 FTA 5차협상 개시 관리자 2006-12-07 2729
714 하우스 화재 감귤 2만㎏폐기 관리자 2006-12-07 3173
713 인터넷 비상품 감귤유통 사각지대 관리자 2006-12-05 3044
712 오늘 제주감귤 운명 '승부령' 관리자 2006-12-05 3534
711 불로초 감귤 출시 관리자 2006-12-05 3163
710 감귤값 상승 비상품 감귤 유통 성행 관리자 2006-12-05 2394
709 지역통계 체계화 시급 관리자 2006-12-05 2373
708 제주시, 농수축산 종합정보사이트 개통 관리자 2006-12-04 2710
707 "적발되는 곳만 적발된다" 관리자 2006-12-04 2432
706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관리자 2006-12-04 2472
705 도내 화물연대 파업…물류 대란은 없어 관리자 2006-12-04 2413
704 감귤아가씨 진 김지혜, 선 김유진, 미 문경의 관리자 2006-12-04 4424
703 감귤 협상품목 제외 ‘고비’ 관리자 2006-12-04 2272
702 감귤협의회 4년 연속 전국 1위 관리자 2006-12-04 2651
701 감귤관측조사의 이해 관리자 2006-12-04 3318
700 “한라봉 경쟁력 있다” 관리자 2006-12-04 227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