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402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59 감귤 완숙과 출하로 인한 효과는? 관리자 2006-11-15 3679
658 노지감귤 4번과 ‘로얄 사이즈’ 관리자 2006-11-15 3427
657 우정어린 감귤 일손돕기 관리자 2006-11-15 2738
656 비상품감귤 3.6t적발 관리자 2006-11-15 3174
655 감귤자조금 “무임승차”논란 관리자 2006-11-15 2644
654 <나의의견>‘소탐대실’`비상품`감귤출하 관리자 2006-11-15 3331
653 제주은행, 이번엔 관리자 2006-11-11 3052
652 감귤 대과비율 늘고 상품과 비율 감소할 듯 관리자 2006-11-11 2976
651 고품질 감귤품종 적극 보급 관리자 2006-11-11 3595
650 논란 속 가공용감귤 도외반출 허용 관리자 2006-11-11 2868
649 감귤, 팔 걱정보다 따는게 더 걱정 관리자 2006-11-09 3272
648 감귤농협 , 고품질 감귤 품종 보급에 적극 나서 관리자 2006-11-09 3522
647 이번엔 "참맛귤 닭고기·독세기" 이주혁 2006-11-09 3410
646 감귤 우박피해농가 추가 지원 관리자 2006-11-09 2193
645 감귤류 품목별 개방여부 ‘촉각’ 관리자 2006-11-09 2229
644 감귤 크기따라 경락가 명암 관리자 2006-11-09 3464
643 서울 청계천서 감귤축제 열린다 관리자 2006-11-09 2811
642 “저급품 너무 많아 값 하락” 관리자 2006-11-09 3143
641 감귤값 하락 “다 이유 있다” 관리자 2006-11-06 2646
640 밑바닥 찍은 노지감귤, 언제 가격반등할까 관리자 2006-11-06 243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