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401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39 불량감귤 운송회사 잇따라 경찰 조사 관리자 2006-11-06 2391
638 비상품 감귤 차단책 없나 관리자 2006-11-06 2315
637 "청정 햇감귤 맛 좋다" 관리자 2006-11-06 2341
636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관리자 2006-11-04 3078
635 제주농협 ‘햇살바람’ 마케팅 시동 관리자 2006-11-04 2864
634 “신선도 뛰어나고 맛도 좋아” 햇감귤 무료시식회 성황 관리자 2006-11-04 2607
633 제주 감귤 제값받기 협력 다짐 관리자 2006-11-03 2651
632 제주 감귤나무의 눈물 관리자 2006-11-03 4608
631 감귤수확인력지원센터 운영 관리자 2006-11-03 3478
630 위기의 제주감귤 관리자 2006-11-03 2485
629 [열린마당]제주감귤 위기극복 방안은 관리자 2006-11-03 2571
628 도, 비상품감귤 단속 '눈가리고 아웅' 관리자 2006-11-03 3161
627 비상품 감귤 판친다 관리자 2006-11-03 2213
626 비상품감귤 판매 취약지역 집중 단속 관리자 2006-11-03 2422
625 감귤 일손지원 적극 당부 관리자 2006-11-03 2700
624 가공용 감귤 도외반출 ‘논란’ 관리자 2006-11-03 2737
623 한미 FTA 대처 ‘안이’ 질타 관리자 2006-11-03 2358
622 전국으뜸농산물대회서 제주산 백합 금상 관리자 2006-11-03 2545
621 “카바이드로 감귤 익히지 마세요” 관리자 2006-11-03 2662
620 노지감귤 값 ↑…품질좋아 값 반전 관리자 2006-11-01 219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