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7-01-22 10:01:31      ·조회수 : 2,078     

<p></p>
<font size="5"><b>감귤류 향방 여전히 ‘불투명’ </b></font>

<font size="4" color="blue">한미FTA 6차협상 진전 없이 끝나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0 김재범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와 관련 제주 생명산업인 감귤류의 향방은 최종 협상 단계

에서 양국 실무팀보다는 고위급 회담 등을 통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 6차 협상 마지막날인 19일 농업분과 관계자는 “오렌지 등 감귤류를 비롯

해 농산물 민감품목에 대해서는 양국간 입장차이만 확인하며 진전을 보지 못했다”

며 “실무적으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오는 2월 12일부터 미국에서 이어질 7차 협상에서 다시 논의될 예정이지

만 미국은 제한없는 관세철폐를 끊임없이 요구하는 반면 한국은 민감품목 개방 제

외 및 피해 최소화로 맞서고 있어 협상 타결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이다.

실제 농산물 민감품목 처리는 7차 또는 8차 협상이든 최종단계에서야 매듭지어지고

고위급 등을 통한 극적인 타개책의 하나로 풀릴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런데 정부는 공식적으로 올 상반기내 협상 타결에 노력하는 한편 쌀의 양허(개

방) 제외 관철을 추진하는 등 민간품목에 대한 양허전략으로 피해 최소화 및 협상

공감대 형성 대응전략을 수립해놓고 있다.

이 때문에 과연 감귤이 제주도가 요구하는대로 개방 대상에서 계속 제외될수 있을

지, 쌀과 동등한 수준으로 협상이 이뤄질지 여부는 아직까지도 불투명한 실정이다.

미국측 웬디 커틀러 수석대표나 앤드류 스테판 농업분과 대표도 제주도의 ‘감귤류

협상품목 제외’라는 거듭된 건의에 민감성을 고려한다면서도 명쾌한 확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한편 양국은 농산물 민감품목을 대상으로 특별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도입

과 TRQ(저율관세할당) 운용방식 등에 대해 협의를 벌이고 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39 불량감귤 운송회사 잇따라 경찰 조사 관리자 2006-11-06 2331
638 비상품 감귤 차단책 없나 관리자 2006-11-06 2251
637 "청정 햇감귤 맛 좋다" 관리자 2006-11-06 2286
636 불량감귤 유통 과태료체납액 징수체계‘허점’ 관리자 2006-11-04 3019
635 제주농협 ‘햇살바람’ 마케팅 시동 관리자 2006-11-04 2804
634 “신선도 뛰어나고 맛도 좋아” 햇감귤 무료시식회 성황 관리자 2006-11-04 2539
633 제주 감귤 제값받기 협력 다짐 관리자 2006-11-03 2589
632 제주 감귤나무의 눈물 관리자 2006-11-03 4545
631 감귤수확인력지원센터 운영 관리자 2006-11-03 3411
630 위기의 제주감귤 관리자 2006-11-03 2460
629 [열린마당]제주감귤 위기극복 방안은 관리자 2006-11-03 2513
628 도, 비상품감귤 단속 '눈가리고 아웅' 관리자 2006-11-03 3092
627 비상품 감귤 판친다 관리자 2006-11-03 2163
626 비상품감귤 판매 취약지역 집중 단속 관리자 2006-11-03 2349
625 감귤 일손지원 적극 당부 관리자 2006-11-03 2630
624 가공용 감귤 도외반출 ‘논란’ 관리자 2006-11-03 2708
623 한미 FTA 대처 ‘안이’ 질타 관리자 2006-11-03 2282
622 전국으뜸농산물대회서 제주산 백합 금상 관리자 2006-11-03 2517
621 “카바이드로 감귤 익히지 마세요” 관리자 2006-11-03 2595
620 노지감귤 값 ↑…품질좋아 값 반전 관리자 2006-11-01 213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