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경쟁력 강화 사업 확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22 10:12:21      ·조회수 : 2,989     

<b><font size=5>

감귤 경쟁력 강화 사업 확대</font>

입력날짜 : 2007. 03.21. 한라일보 <font size=3 color=blue>

道, 예산 208억 투입 생산시설 현대화 등 추진</font><font size=3>

 제주특별자치도는 FTA 협상 결과에 관계없이 감귤 고품질 생산시설 현대화 사업 등을 통해 감귤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도는 특히 지원대상 농가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고 그를 통해 소기의 성과를 거둔다는 복안이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올해 FTA 기금 지원사업으로 사업비 2백8억원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도내 5백54농가에 각종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해 사업비 1백47억원보다 41%가 증가한 규모이고 혜택농가도 3백67 농가보다 50%가 늘어난 수치다.

 세부 지원계획을 보면 감귤 비가림 하우스 시설 사업에 2백31농가를 대상으로 1백88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또 감귤품종 갱신사업에 1백43농가 4억원을 비롯 감귤 하우스 자동개·폐기 설치 사업 80농가 7억원, 그리고 감귤하우스 비상발전기 설치 사업 1백농가 9억원 등이다.

 도는 사업시행주체의 경우 종전 감귤농업협동조합으로 한정 했지만 올해부터는 제주지역조합공동사업법인(19개 지역농협으로 구성)이 추가되어 도내 전 지역의 농·감협 및 지소에서 추진이 가능하게 됐다.

 이와 함께 올해 처음으로 감귤하우스 자동개폐기시설 사업을 추가해 농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전망이다.

 도는 이들 지원사업을 통해 생산된 감귤을 거점산지유통센터의 광센서 자동선과기에 의해 브랜화된 상품으로 출하할 경우 경쟁력 향상은 물론 농가의 소득증대 및 감귤 출하 조절, 가격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박규헌 감귤정책과장은 "신규 지원사업 확대와 사업시행주체를 다양화 함으로써 농가들의 지원 신청이 편리해지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감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행정력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19 "예외품목 지정돼도 감귤피해 불가피" 관리자 2006-11-01 2406
618 "한국 쌀 제외 개방확대안 제시"..감귤은? 관리자 2006-11-01 2478
617 [표어] 톡! 쏘내 제주감귤 푹! 빠지네 제주사랑 관리자 2006-11-01 3116
616 제주감협 GAP시설 인증 받아 관리자 2006-11-01 2991
615 [타과일동향-배]작황부진…저장량도 줄듯 기획정보과 2006-10-31 2391
614 [타과일동향-단감]생산 10% 줄어 값 강세 예상 기획정보과 2006-10-31 2500
613 2006 KB국민은행 제주감귤국제마라톤대회 관리자 2006-10-31 2851
612 제주산 바나나 ‘부활’ 관리자 2006-10-31 2698
611 노지감귤 평균가 1만2800원…본격 '비상' 채비 관리자 2006-10-30 2610
610 [타과일동향-사과]대과적어..값강세탈듯 기획정보과 2006-10-30 2520
609 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장 초청 감귤워크샵 관리자 2006-10-30 2361
608 효돈농협 감귤 10㎏ 2만5천원 관리자 2006-10-30 3217
607 감귤 유통명령제 관리자 2006-10-30 2474
606 감귤 협상품목 제외 거듭 당부 관리자 2006-10-30 2255
605 고품질 감귤 출하 ‘공동협력’ 나선다 관리자 2006-10-30 2848
604 감귤 ‘협상품목 제외’ 최대 기로 관리자 2006-10-30 2333
603 고품질 타이펙감귤 수도권서 큰 인기 관리자 2006-10-26 2868
602 감귤류 협상 제외 ‘불투명’ 관리자 2006-10-26 2568
601 [사설]비상품 감귤유통 보고만 있을 건가 관리자 2006-10-26 2442
600 ”제주감귤 지킨다” 농민들 차량시위 관리자 2006-10-26 215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