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2:54      ·조회수 : 2,328     

FTA 농산물 개방수준 촉각
내달 본협상서 감귤류 양허제외 강구해야
제주일보 6/23 김태형 기자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발효시 감귤산업은 물론 지역경제 전반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향후 양국간 협상에 있어 농산물 양허수준이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22일 제주도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등에 따르면 다음달 예정된 한·미 FTA 2차 본협상부터 농산물에 대한 품목별 양허 협상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돼 대비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이번 농산물 협상에서는 전체 협상 대상품목 중 개방 정도 수위를 가늠할 양국간 양허 수준이 정해질지 여부에 최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통상적인 FTA 협상 과정상 양국은 품목별로 양허 수준을 정하고 관세철폐 이행기간과 양허 제외 등의 양허 방식을 정하는 수순을 밟게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여기에서 양허 수준이 높으면 그만큼 관세 철폐 품목이 많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례로 한·칠레 FTA에서 우리나라는 전체 농산물의 70%를 자유화했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는 66.7%를 양허 수준으로 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한·칠레 FTA에서는 쌀·사과·배 등 21개 품목이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보호받았으며 한·싱가포르 FTA에서도 쇠고기·돼지고기·닭고기 등이 양허 제외 품목으로 분류됐다.

정부는 한·미 FTA 협상에서 쌀 등 민감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시킨다는 입장이어서 양국간 양허 수준 향방에 따라 위기에 처한 감귤 향방도 좌우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미국은 쇠고기와 함께 감귤류 등 주요 과실 품목을 양허 대상에 포함시켜 관세 인하나 철폐를 요구할 것으로 알려져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이로볼때 한·미 FTA에 따른 감귤산업의 도미노 피해를 막기 위해서는 최소한 민감품목과 함께 양허 제외 품목 지정을 동시에 요구하는 전략적 방안이 검토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99 [사설] FTA 美側 대표의 “감귤 제외” 발언 관리자 2006-10-25 2082
598 제주감귤 협상 테이블에 오르나? 관리자 2006-10-25 2327
597 감귤 실상 알리는 취지 달성 관리자 2006-10-25 2434
596 특별수송대책 마련 분주 관리자 2006-10-25 3164
595 감귤값 상승 ‘발목’잡는 부패과 관리자 2006-10-25 2472
594 [특별기고] 「윈ㆍ윈」의 FTA협상 결과를 기대하며 관리자 2006-10-24 2878
593 미숙감귤 강제 착색 농가에 50만원 과태료 관리자 2006-10-24 2446
592 한미FTA 저지 시위대, 경찰 1차 저지선 뚫어 관리자 2006-10-24 3044
591 비상품감귤 불법유통 '꼼짝마' 관리자 2006-10-24 2267
590 갈옷 입고 감귤주스로 인사 관리자 2006-10-24 2550
589 감귤 ‘최악의 고비’ 넘기나 관리자 2006-10-24 3110
588 한미FTA와 감귤산업 관리자 2006-10-24 3245
587 "감귤 등 지역특작물 붕괴 어쩌나" 관리자 2006-10-24 2448
586 美 “제주감귤 민감성 고려” 관리자 2006-10-24 2346
585 "농업·농민 죽이는 한미FTA저지, 농협 노동자가 나서야" 관리자 2006-10-23 3036
584 제주FTA,정말 감귤 막을 수 있을까? 관리자 2006-10-23 2504
583 감귤육종연구소‘시험장’수준 축소 관리자 2006-10-23 3052
582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관리자 2006-10-23 2795
581 감귤 ‘관세철폐 예외’ 중대고비 관리자 2006-10-23 3152
580 “감귤 협상품목 제외돼야” 관리자 2006-10-23 255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