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1-29 11:03:25      ·조회수 : 2,420     

<p></p>
<b><font size="5">전환 필요한 감귤 위주의 농업정책</b></font>

<font size="3">한라일보 11/27

감귤산업 위주의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정책이 도의회의 '도마'위에 올랐다. 수십년동

안의 관행(慣行)과 구태(舊態)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농업현실에 대한 도의원들

의 질타는 어쩌면 당연한 것이다.

 도농업기술원을 상대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의원들은 우선 감귤원 폐원사업

을 '절반의 성공' 더 나아가 '실패한 정책'이라고 규정했다. 지난 2004년부터 대대적

인 폐원사업으로 3년 연속 '감귤 제값받기'에 성공했다고 자화자찬(自畵自讚) 하지

만, 그 속내를 들여다 보면 그렇지 않다는 것.

 한 의원은 2천여㏊의 감귤원을 폐원하고 그 폐원지에 다른 밭작물을 심은 사례를

예로 들었다. 마땅한 대체작목 부재로 소득은 커녕, 나머지 밭농사 위주의 농가들에

게 가격 하락 등 '비수(匕首)를 꽂는'부작용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감귤은 관광과 더불어 제주경제의 2대 축(軸)이자 '생명산업(生命産業)'임에 틀림

없다. 조수입만 하더라도 한해 6천여억원(2005년도 기준)으로 도내 전체 농·축산업

조수입(1조6천1백40억원)의 37%를 점하고 있다. 농산물(1조1천4백20억원)에만 국

한하면 그 비중은 더욱 커져 무려 52%에 달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감귤이 차지하는 비중 때문에 지난 수십년간 '성역시(聖域視)' 하여 보호

위주의 정책을 펼침으로써 경쟁력을 상실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음은 주목할만 하

다. 감귤산업이 살 길은 적정생산이 관건(關鍵)이다. 문제는 그동안 타 작물을 홀대

함으로써 폐원 등을 통해 마땅하게 전환할 작목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특별자치도의 농업정책은 이제 전환이 필요하다. 감귤산업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해서도 타 작목의 동반 육성 및 성장은 필수적이다. 상생(相生)의 정책만이

감귤도, 농업 전반도 살아남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99 [사설] FTA 美側 대표의 “감귤 제외” 발언 관리자 2006-10-25 2051
598 제주감귤 협상 테이블에 오르나? 관리자 2006-10-25 2272
597 감귤 실상 알리는 취지 달성 관리자 2006-10-25 2374
596 특별수송대책 마련 분주 관리자 2006-10-25 3098
595 감귤값 상승 ‘발목’잡는 부패과 관리자 2006-10-25 2415
594 [특별기고] 「윈ㆍ윈」의 FTA협상 결과를 기대하며 관리자 2006-10-24 2823
593 미숙감귤 강제 착색 농가에 50만원 과태료 관리자 2006-10-24 2383
592 한미FTA 저지 시위대, 경찰 1차 저지선 뚫어 관리자 2006-10-24 2979
591 비상품감귤 불법유통 '꼼짝마' 관리자 2006-10-24 2221
590 갈옷 입고 감귤주스로 인사 관리자 2006-10-24 2540
589 감귤 ‘최악의 고비’ 넘기나 관리자 2006-10-24 3061
588 한미FTA와 감귤산업 관리자 2006-10-24 3187
587 "감귤 등 지역특작물 붕괴 어쩌나" 관리자 2006-10-24 2411
586 美 “제주감귤 민감성 고려” 관리자 2006-10-24 2274
585 "농업·농민 죽이는 한미FTA저지, 농협 노동자가 나서야" 관리자 2006-10-23 2967
584 제주FTA,정말 감귤 막을 수 있을까? 관리자 2006-10-23 2442
583 감귤육종연구소‘시험장’수준 축소 관리자 2006-10-23 2986
582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관리자 2006-10-23 2732
581 감귤 ‘관세철폐 예외’ 중대고비 관리자 2006-10-23 3085
580 “감귤 협상품목 제외돼야” 관리자 2006-10-23 248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