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6-23 09:54:37      ·조회수 : 2,420     

“감귤, 협상 예외품목 이외 대안 없다”
한라일보 6/23
한미 FTA가 발효돼 감귤류에 대한 관세가 철폐되면 도내 감귤산업 피해액이 10년 동안 최대 2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감귤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시행중인 제주대학교의 분석이다. 충격적인 보고서다. 감귤에 국한된 것도 아니다. 일반농업, 관광 등 타산업도 함께 몰락해 제주경제가 붕괴될지 모른다는 경고를 용역팀은 하고 있는 것이다.

 이제 제주도 당국이 선택할 수 있는 카드는 자명해졌다. 뭔가를 하는 것처럼 시늉만 낼 단계가 아닌 것이다. 제주경제의 사활이 걸린 중대 사안이다. 우선 감귤을 협상 예외품목으로 관철시켜야 한다. 달리 대안이 없다. 정부와 적당히 타협할 생각은 접는 게 좋다. 정부가 미국에 한국의 농업을 일방적으로 양보하지 않도록 도 당국이 앞장서서 경각심을 줘야 한다. 뜻을 같이 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없지 않을 것이다.

 이른바 ‘민감품목’에 감귤이 지정되더라도 엄청난 피해가 불가피한 것으로 예측되고 있지 않은가. 감귤 뿐만 아니라 다른 농작물과 축·수산업 개방 피해도 정확한 분석과 예측이 시급하다. 감귤만 갖고 제주 농촌경제를 지탱할 수는 없다. 열 손가락 깨물어 아프지 않은 손가락은 없다.

 도가 그제 발표한 ‘감귤산업 육성 로드맵’도 장밋빛 전망이 아닌 지 면밀히 재검검해볼 일이다. 감귤 조수입을 2010년에 1조원으로 늘리겠다는 구상을 농가들이 얼마나 현실성 있는 계획으로 받아들일는지 의문이다. 그렇게 발전시키는 것이 당연한 일이겠지만 검증되지 않은 발표로 자칫 FTA 대응에 초점이 흐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도가 특히 잊지 말아야 할 것은 1차산업 발전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감귤 따로, 일반농업·축산업·수산업 따로 제 각각 분산해 논의하기보다 제주의 농·수·축산업을 한 묶음으로 통합해 종합적인 발전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 작물간 산업간 우선순위가 보다 명확해지고 이에 따라 산업의 재배치가 가능해진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697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388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425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3006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2867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393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060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291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788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083
509 감귤, 생명산업 인식 대처 관리자 2006-10-04 2754
508 감귤유통명령제 청신호 관리자 2006-10-04 2611
507 미숙·비상품감귤 유통 강력 단속 추진 관리자 2006-10-04 2571
506 극조생 노지감귤 강제착색행위 적발 관리자 2006-10-04 3034
505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도외서도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3599
504 [보도자료]강제착색 비상품 첫 출하 적발 관리자 2006-10-04 2861
503 [보도자료]“생명산업인데 이래서야 됩니까” 관리자 2006-10-04 3310
502 [보도자료]서울서 극조생 저급 감귤 올해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3184
501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추석절 상혼' 멍든다 관리자 2006-10-04 3296
500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도외 유통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25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