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1 10:04:57      ·조회수 : 3,915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道, 행자부에 특별배려 요청
제주일보 8/1 김재범 기자
제주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숙원사업인 감귤육종연구소가 설립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내년도 소요정원 등을 판단, 빠르면 8월초 이 연구소의 설립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도내 농업인들사이에서는 국내 다른 과일의 경우 1991년 각각 사과시험장, 배시험장 등 육종연구소가 설립돼 운영중인데 비해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는 육종 개발후 농가에 보급한 사례가 없어 감귤연구 전문기관 설립이 시급히 요구돼왔다.

이 때문에 제주특별자치도 등은 감귤의 다양한 신품종 육성, 육종 자원.재배.병해충 연구 등을 전담할 시설 필요성을 거론, 정부에 건의해왔다.

더구나 한국이 2002년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에 가입함에 따라 일본 등에서 육성된 감귤 품종을 도입할 경우 로열티 지급 등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에따라 최근 행정자치부와의 협의과정에서도 현재의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16명)를 독립, 감귤육종연구소(5실 33명)로 설립해줄 것을 특별 배려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도내 감귤산업은 농업 조수입의 51%, 지역 총생산액의 8.7%를 차지하는 생명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감귤 주산지 20개현에서 100년전부터 감귤연구소를 설치하고 있고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감귤품종(온주감귤 30품종, 만감류 15품종)은 대부분 일본에서 도입됐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519 제주도, 불량감귤 열매솎기 전체 51% 달성 관리자 2006-10-09 2658
518 벌써 ‘양심불량 감귤’더는 공멸이다 관리자 2006-10-09 2356
517 “3∼5년 등 다년으로 바꿔야” 관리자 2006-10-09 2395
516 감귤 착색단속 행정력 낭비 관리자 2006-10-09 2969
515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2831
514 "FTA 제주협상에서 감귤 논의될 것" 관리자 2006-10-09 3356
513 덜익은 비상품 감귤 첫 폐기 관리자 2006-10-09 3021
512 [사설]비상품 감귤 분류기준 강화돼야 관리자 2006-10-09 3263
511 감귤 열매솎기만으론 가격 지지 효과 의문 관리자 2006-10-09 2764
510 감귤 강제착색 현장 적발 관리자 2006-10-09 3053
509 감귤, 생명산업 인식 대처 관리자 2006-10-04 2733
508 감귤유통명령제 청신호 관리자 2006-10-04 2574
507 미숙·비상품감귤 유통 강력 단속 추진 관리자 2006-10-04 2516
506 극조생 노지감귤 강제착색행위 적발 관리자 2006-10-04 2991
505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도외서도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3561
504 [보도자료]강제착색 비상품 첫 출하 적발 관리자 2006-10-04 2824
503 [보도자료]“생명산업인데 이래서야 됩니까” 관리자 2006-10-04 3283
502 [보도자료]서울서 극조생 저급 감귤 올해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3153
501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추석절 상혼' 멍든다 관리자 2006-10-04 3271
500 [보도자료]비상품 감귤 도외 유통 첫 적발 관리자 2006-10-04 250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