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사설] 농협 작목반 구조조정 바람직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9-28 18:14:17      ·조회수 : 2,965     

[사설] 농협 작목반 구조조정 바람직
제주타임즈 9/28
농업 생산의 경쟁력은 물론 품질에 달려 있다. 질 좋은 농업 생산물이 좋은 가격을 받을 수 있고 적기에 원활하게 처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질 좋은 농산물을 생산한다고 해도 포장기술이나 판매라인 등 시장정보를 꿰뚫어 신축적으로 대응하는 전략이 없다면 애써 가꾼 질 좋은 농산물도 제값을 받지 못하고 제대에 처리하지 못하는 낭패를 보기 일쑤다. 그래서 이 같은 낭패를 줄이기 위해 등장한 것이 농업 작목반이다. 감귤이나 양파겦떪횁감자곂??등 별로 작목이 같은 농민들이 소그룹을 형성하고 이들이 협동을 통해 공동 선별작업 공동출하 및 판매를 통해 농가소득을 극대화하려는 일종의 ‘농업 동아리’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영농 동아리인 농협 작목반은 도내에 863개나 있다. 가입 농민만도 1만8446명이 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작목 별로는 감귤 등 과일류 작목반이 584개, 당근 쪽파 등 과일류 작목반이 584개, 당근 쪽파 등 채소류가 189개, 감자 등 식량작목이 77개소, 화훼류 12개, 양봉 1개 등이다. 그러나 이들 작목반 대부분이 작목반 본래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유명무실 하다는 것이다. 아예 이름만 작목반이지 전혀 활동을 하지 않는 곳도 수두룩하다고 한다. 각종 관련 농업지원자금이나 환원 수수료 혜택을 노려 작목반을 결성만 해놓고 유야무야 해버린 곳도 부지기수다. 그래서 오히려 작목반이 공동작업을 통한 농업경쟁력 제고나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이같은 현상에 대해 한경농협이 부실작목반 정리에 나섰다고 한다. 기존 작목반중 유명무실 작목반을 절반정도 줄여 작목반 취지를 살리겠다는 것이다. 우리는 차제에 도내 전 작목반에 대한 실태 조사후 구조조정을 통해 우수작목반 육성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기를 농협측에 권고하는 바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59 제주도 경찰투입 감귤 미숙과 강제착색 집중 단속 관리자 2006-09-26 3000
458 제주감귤 ‘국민과일’ 위협 관리자 2006-09-22 2535
457 제주감귤농협 창립 46주년 기념식 관리자 2006-09-22 2723
456 추석 감귤 강제착색 출하 우려 관리자 2006-09-22 3382
455 제주감귤 새로운 성장 동력…완숙감귤 수확하기 관리자 2006-09-22 3205
454 노지감귤 왁스코팅 금지 시행 또다시 유보 관리자 2006-09-22 2602
453 "한미FTA 협상 제주개최, 이해해달라" 관리자 2006-09-22 3358
452 제주 '귤 먹인 한우' 상표등록 관리자 2006-09-22 3379
451 비상품 막아야 '제 값' 받아 관리자 2006-09-21 2845
450 일부 선과장‘배짱’ 관리자 2006-09-21 3213
449 [백록담]감귤 왁스코팅의 명분과 실리 관리자 2006-09-21 3118
448 감귤품질검사원 교육 받지 않으면 ‘큰 코’ 관리자 2006-09-21 3027
447 도, 감귤 '왁스코팅' 단속 방침 '철회' 관리자 2006-09-21 2673
446 감귤상인 40년만의 첫 약속 "속이지 않겠다!" 관리자 2006-09-21 2952
445 “상품생산량은 유통조절명령 결과물” 관리자 2006-09-21 3091
444 고두배 농축산국장, 감귤유통명령제 협의차 농림부 방문 관리자 2006-09-21 2774
443 [제주투데이/기고문]고품질의 감귤 적정출하로 3년 연속 제값 받자 관리자 2006-09-21 3157
442 [사설] 왜 감귤 컨테이너만 혜택 못 받나 관리자 2006-09-20 4002
441 [기고]열매솎기로 감귤 제값받기 동참을 관리자 2006-09-20 2939
44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비상 관리자 2006-09-20 240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