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제주신문]올 노지감귤 생산 70만톤 육박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8-29 17:14:51      ·조회수 : 3,181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70만t에 육박할 것으로 조사돼 감산 및 유통처리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최근 들어 확산되고 있는 열매솎기를 통한 비상품감귤 생산근절·유통차단이 가장 현실적인 적정량 생산 대책으로 부각되고 있어 농가들의 자율적인 동참의지가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제주도농업기술원은 28일 오전 감귤관측조사위원회를 열고 올해산 노지감귤에 대한 착과량 조사결과를 확정했다.

이날 관측조사위원회는 이달 중순께 도내 460여 표본 감귤원을 대상으로 노지감귤 착과량을 조사한 결과 올해 생산예상량은 66만±2만 5000t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즉 최대 68만 5000t까지 생산될 것으로 조사돼 2002년 79만t 생산 이후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착과량 조사결과는 지난 5월 화엽비 조사 결과를 토대로 추정한 생산예상량 54만 5000∼59만 8000t에 비해 무려 10만t 안팎으로 증가한 것이다.

관측조사위원회는 당초 화엽비 조사 이후 생리낙과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기상여건 등으로 인해 생리낙과가 크게 줄어 열매수 등 착과량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처럼 올해산 노지감귤의 생산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향후 적정생산과 유통처리 대책 마련이 최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올해 66만t 생산을 기준으로 하면 상품으로 44만t을 출하하고 11만t은 가공용 수매로 처리할 경우 열매솎기를 통해 7만t 이상을 감산해야 한다. 나머지 4만t은 수확시 자율폐기와 자가소비 등으로 처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결국 올해산 노지감귤의 적정생산을 통해 제값받기는 열매솎기에 대한 농가들이 자율적인 관심과 참여의지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419 추석절, 강제착색. 미숙감귤 '물럿거라' 관리자 2006-09-15 2547
418 [사설] FTA 감귤투쟁, 지금이 고비다 관리자 2006-09-15 2540
417 감귤, 가공제품 원료 사용 최고 관리자 2006-09-15 3112
416 제주도민 53.8% 한미 FTA 협상 반대 관리자 2006-09-15 2911
415 한미 FTA4차 회의 제주 개최 확정 관리자 2006-09-15 3162
414 [감귤정책과]불량감귤 열매솎기 실천농가 감귤관련사업 최우선 지원 관리자 2006-09-14 2515
413 道의회 감귤 왁스코팅 결판 낸다 관리자 2006-09-14 3824
412 감귤 유통구조개선 ‘소리만 요란’ 관리자 2006-09-14 2861
411 감귤 ‘왁스코팅’ 논란 어처구니 없다 관리자 2006-09-14 3626
410 “감귤 왁스코팅 유보 그때가서 생각” 관리자 2006-09-14 2493
409 "한미FTA 제주유치하면 '투쟁의 섬' 보게 될 것" 관리자 2006-09-14 3041
408 "감귤 반드시 협상제외품목에 포함돼야" 관리자 2006-09-14 2365
407 [감귤정책과] 오렌지 등 감귤류 한.미 FTA 협상품목 제외 건의문 제출 관리자 2006-09-13 2717
406 10월 과채·과일 출하량, 오이·호박 늘고 배·감귤 줄고 관리자 2006-09-13 3434
405 노지감귤 생산예상량 '혼선' 관리자 2006-09-13 3004
404 농가들 "감귤왁스코팅 규제 시기상조" 관리자 2006-09-13 3504
403 과일 중 하우스감귤 품질 꼴찌 관리자 2006-09-13 3488
402 노지감귤 왁스코팅 금지조례 시행 차질 우려 관리자 2006-09-13 2838
401 한·미 FTA 3차본협상 결산 관리자 2006-09-13 2647
400 농업분야를 희생양으로? 관리자 2006-09-13 266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