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소규모.영세 선과장 전체 86% 차지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14 09:53:47      ·조회수 : 2,983     

<b><font size=5>

소규모.영세 선과장 전체 86% 차지 </font>

2007년 03월 14일 (수) 제주일보 <font size=3>


도내 대부분 선과장의 운영실태가 취약, 통·폐합 등을 통한 유통구조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진단됐다.

제주특별자치도는 13일 지난달 하순부터 이달 초순까지 노지감귤 선과장 운영실태를 전수 조사한 결과 총 680개소 가운데 92%인 625개소만 운영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선과장에 설치된 선과기는 모두 683대로, 선과장별 처리능력은 2t 미만 212개소, 2∼4t 미만 372개소 등으로 전체의 86%가 매우 영세한 소규모 형태로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7t 미만 87개소, 7t이상은 12개소에 불과했다.

선과장 면적 규모도 50평 미만 46개소, 50∼80평 미만 224개소, 80∼100평 미만 132개소, 100∼150평 미만 137개소, 150평 이상 141개소 등으로 전체의 59%가 100평도 안되는 소형 선과장으로 분류됐다.

특히 전체 선과장의 30%인 203개소는 창고 등 다른 용도로 허가를 받아 선과장으로 사용하는 무허가 건축물로 나타났으며 농·감협에서 일반 유통상인에 임대해준 선과장도 53개소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 상당수 감귤 선과장이 영세한데다 소규모로 운영되면서 선별·품질관리 능력과 효율성이 저하되고 있음에 따라 통폐합 방안을 강구, 추진키로 했다.

제주도는 이를위해 운영되지 않고있는 선과장 55개소에 대해서는 노지감귤 품질검사원 위촉대상에서 제외하고 임대·사용중인 선과장 53개소에 대해서는 해당 작목반에서 직접 사용할 경우에 한해 품질검사원을 위촉키로 했다.

또 앞으로 소규모 감귤 선과장을 통·폐합, 200개소 정도로 규모화·현대화하고 산지거점유통센터를 권역별로 운영할 방침이다.

하지만 선과장 통·폐합을 위한 등록제 시행에도 등록기준 적용 시기가 2010년까지 유예 조치된 상황이어서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지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font>김태형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99 “감귤사랑 품에 안고 뛰어요” 관리자 2006-09-13 3319
398 美일부지역산 오렌지 긴급수입제한 관리자 2006-09-12 2805
397 멀고도 먼 감귤 당도 향상 관리자 2006-09-12 3509
396 캘리포니아산 과실류 긴급 수입금지 관리자 2006-09-12 2874
395 오렌지 수입 증가 예상, 감귤값 악영향 우려 관리자 2006-09-12 3085
394 한미FTA 협상 제주개최설...경찰 '어쩌나' 관리자 2006-09-12 2960
393 감귤 왁스코팅 '오락가락' 관리자 2006-09-12 3074
392 감귤유통 조례-규칙 ‘엇박자’ 관리자 2006-09-11 2694
391 ‘감귤은 국민과일’ 관리자 2006-09-11 2842
390 FTA 감귤사수 ‘예측불허’ 관리자 2006-09-11 2929
389 제주 감귤시험장 `부활' 관리자 2006-09-11 3156
388 한미FTA 4차 협상 제주 유력 후보지 관리자 2006-09-11 2849
387 감귤관세철폐 대상 제외 촉구 관리자 2006-09-11 2640
386 감귤탁주 ‘귤로만’ 대한민국우수특산품대상 선정 관리자 2006-09-11 2829
385 FTA협상 대응 감귤특별대책위원회 5차회의 개최 관리자 2006-09-11 3759
384 유통명령제·열매솎기 감귤 제값받기 ‘총력’ 관리자 2006-09-11 2652
383 FTA 겨냥 우리농업 띄우기? 관리자 2006-09-08 3536
382 올 감귤 당도 높고 빛깔도 좋아 관리자 2006-09-08 2779
381 열매솎기 자율참여 확산 주력 관리자 2006-09-08 2690
380 FTA 3차협상 파행 위기 관리자 2006-09-08 365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