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23 15:48:49      ·조회수 : 2,724     

<p></p>
<font size="5">“한·미 FTA, 건너서는 안되는 강” </font>

<font size="3" color="blue">강인선 제주도농업인단체협의회장 특별기고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0/23 기고문

한·미 FTA 협상이 농업 등 1차 산업은 물론 사회 전반에 걸쳐 서민들의 삶을 파탄에

이르게 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김태환 지사가 제4차 협상 제주 개최 확정과 관련

해 기자회견을 갖고 “한·미 FTA 협상단에게 제주지역 감귤의 어려움을 평화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삼자”고 도민들에게 호소한 것을 보면 정말로 제주감귤에 타

격이 많기는 많은 모양이다.

며칠 전, 홍영표 대통령직속 한·미 FTA체결지원단장은 감귤을 민감품목으로 지정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감귤의 ‘예외품목’지정은 이미 물 건너갔다는 얘기와 다

를 바 없다. 감귤의 민감품목 지정은 감귤시장을 완전 개방하겠다는 것하고 같은 말

이다.

협상 이전부터 미국에게 알아서 기겠다는 것이다. 제주감귤 농가들이 원하는 것은

민감품목이 아니라 예외품목이다. 얼마 전에도 김종훈 FTA협상 수석대표가 민감품

목을 언급한 적이 있다.

서로들 돌아가면서 민감품목 운운하는 것이 아무래도 시작 전에 예외품목은 포기한

듯 싶다. 감귤의 보호장벽이 무너진다는 것은 제주경제의 무너짐을 의미한다. 물론

대부분의 농작물들이 많은 피해를 보겠지만 감귤의 피해는 제주경제에 직격탄을 가

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동안의 행태로 볼 때, 농업에 대한 정부의 시각은 이렇다. 한국은 우루과이라운드

(UR)의 강과 한·칠레 FTA강도 건넜으니 한미 FTA 농업개방이라는 강을 충분히 건

널 수 있다고 한다.

쌀을 제외할 경우 경쟁력 없는 품목의 비중은 2%에 불과한 만큼 충분한 지원대책을

세우면 겁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경쟁력 있는 품목이나 경쟁력 없는 품목이 대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도 않으면서 쌀을 가장 큰 쟁점으로 몰고 가 쇠고기

와 과일 등 미국의 요구를 희석시키려 한다는 의구심만 든다.

이미 학자들은 한·미 FTA로 인한 농업피해는 농업에 대한 국가폭력이라고 말하고

있다. 농민들은 경쟁력 없는 품목이 2%가 아니라 경쟁할 수 있는 품목이 2%도 안된

다고 본다. UR의 강을 건널 때 농가부채는 4배로 늘었고 농민은 절반만 남았다. UR

보다 더한 한·미 FTA는 우리가 결코 건너서는 안 되는 강이다. 잘못된 협상 때문에

농민이, 국민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널 수는 없는 것이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79 감귤 시스템 전면 개편 관리자 2006-09-08 2512
378 서귀포시, 불량감귤 열매솎기 발대식 성황리 개최 관리자 2006-09-08 3236
377 민주당 "감귤·쌀 농산물 개방 안된다" 관리자 2006-09-07 3080
376 "이런 감귤은 따야 합니다" 관리자 2006-09-07 3809
375 감귤에 투자해 최고급 감귤 값싸게 드세요~ 관리자 2006-09-07 3681
374 한·미 FTA 이후 벼랑에 선 제주감귤의 미래? 관리자 2006-09-07 4020
373 [사설] 왁스코팅, 道-議會 누구의 고집인가 관리자 2006-09-06 4090
372 감귤, 민감품목이 아닌 초민감품목만이 살길! 관리자 2006-09-06 2947
371 2006년산 감귤운송계약 일제히 경쟁입찰 공고 관리자 2006-09-06 2907
370 “한·미FTA는 죽음의 거래일 뿐” 관리자 2006-09-06 2882
369 "한미 FTA 협상 중단, 국민투표 실시를" 관리자 2006-09-06 2366
368 유통명령제 요청서 검토의견 농림부 제출 관리자 2006-09-06 3204
367 도, 도의회 '감귤현안' 모르쇠? 관리자 2006-09-05 3206
366 이달부터 2개월동안 감귤 1만 4000톤 솎기 관리자 2006-09-05 2578
365 지난해 감귤 생산액 8108억 관리자 2006-09-05 2567
364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5 2898
363 (제주)도.시.군 통합 추경예산안 4.2% 증가 관리자 2006-09-04 2761
362 한미FTA '先대책, 後협상' 한목소리 관리자 2006-09-04 3333
361 왁스코팅 찬·반 논쟁 뜨겁다 관리자 2006-09-04 3159
360 [데스크 칼럼] 감귤유통명령 왜 해야 하나 관리자 2006-09-04 299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