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0-12 10:22:42      ·조회수 : 2,941     

<p></p>
<b><font size="5">'감귤 보내기' 중단 불가피할 듯 </font></b>
<p></p>
<font size="4" color="857375">"北 핵실험 이후 대북교류사업 어떻게 될까"</font>

<font size="3">제주타임즈 10/12 임창준 기자

지난 9일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제주도민들이 지난 1998년부터 펼쳐온 제주 감귤

보내기 운동이 중단될 가능성이 농후해지고 있다.

이는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 강행으로 수해 복구를 돕기 위해 진행하던 대북 지원물

자 수송작업을 잠정 보류하고 금명간 금강산 관광사업 등도 중단할 것으로 알려지면

서 감귤 보내기 운동 역시 이런 맥락에서 중단이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 때문이다.

북한 감귤보내기 운동은 지난 1998년 북한 동포 돕기라는 인도적 차원에서 시작됐

다. 첫해 100톤을 시작으로 해가 갈수록 물량을 늘려 지난 8년간 모두 3만6226톤을

보냈다. 금액으로만도 112억3600만원 상당에 이른다. 제주감귤은 ‘남북협력 제주도

민운동본부‘가 북측 ‘민족화해협의회‘의 창구를 통해 선박편으로 해마다 겨울철에

수송해 왔다.

2000년과 2001년, 그리고 지난해에는 당근 1만3000톤(시가 51억3900만원)을 보냈으

며, 의약품과 목초종자, 수해복구 자재 등을 지원해 왔다.

북한도 제주도민들의 인도적 지원에 감사하다는 뜻을 제주를 찾은 고위 인사들을 통

해 수차례 전해왔고 이 같은 분위기가 성숙, 남북 군사최고책임자(국방장관)회담도

제주에서 개최돼 제주가 평화의 섬을 상징하는 데도 기여한 것도 사실이다.

제주의 감귤보내기 운동은 정부의 대북교류 사업의 일환이기는 하지만 우근민 도지

사 시절, 제주도가 자체적으로 추진해 왔다는 점에서 수범적인 사례로 평가돼 왔다.

감귤보내기 운동이 시작된 이후에야 전국의 다른 지자체에서 남북 민간 교류 물꼬

를 트는 계기가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이 이날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와 우리정부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핵실

험을 강행하면서 그동안 펼쳐왔던 제주도민들의 북한 감귤보내기 운동이 매우 불투

명해지고 있는 것.

올 겨울에도 남북협력 제주도민운동본부는 감귤 1만톤을 지원키로 하고, 다음달 북

측 ‘민화협‘과 구체적인 지원 일정을 협의할 예정이었다.

정부는 핵실험 확인 직후 10일 동해항에서 북한 수해복구용 시멘트 4000톤을 실고

떠나려던 선박의 출항 일정을 유보한 상태에서 감귤보내기 운동은 정부의 허가나 지

원없이는 현실적으로 보내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북한에 보내는 감귤 확보는 제주도의 예산과 도민의 성금 등으로 모아지나 북한으

로 보내는 물류비는 지난 2002년부터 정부의 지원을 받아왔다. 지난해에도 20억원

을 지원받았다.

문제는 물류비도 그렇지만, 도민 정성으로 이뤄졌던 감귤보내기가 핵실험 강행으로

도민사회가 공분하는 만큼 감귤보내기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

이다.

이런 가운데 ‘6.15 공동선언 남측위원회 제주본부‘가 10일 오후 제주시 열린정보센터

에서 ‘남북교류협력 조례제정을 위하여‘란 토론회를 개최, 민간차원의 남북교류 협

력은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혀 관심이 되고있다.

발제자로 나선 고성준 교수는 "제주도는 그동안 농산물 지원이라는 인도주의적 사업

에 치중해 어느 정도 남북교류협력에 성과를 거뒀다"며 "하지만 도내 다양한 통일관

련 기관 및 단체들은 물론이고 의회.언론계.경제계 등 다양한 사회단체 등이 함께 나

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 교수는 "제주도는 특별자치도 출범과 함께 평화사업과를 신설하고, 남북교류계

가 신설된 것은 평화의 섬 구현 사업과 남북교류협력사업에 중점을 두고자 하는 제

도적 표현으로 생각할 수 있다"며 "지금까지 우리가 북한을 방문하는 '가는 교류'사

업 중심으로 추진했지만 이제는 남북교류에 있어 일방적 보다는 쌍방적인 '오고 가

는 남북교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468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3940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2999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175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475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592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5865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2850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3497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2642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540
348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관리자 2006-09-01 3392
347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관리자 2006-09-01 3500
346 토양피복재배사업 도 지원 기대 이하 관리자 2006-09-01 3306
345 불량감귤 열매솎기 다짐결의대회 개최 관리자 2006-09-01 3079
344 "고품질 감귤생산 토양피복재배사업으로 승부" 관리자 2006-08-31 2787
343 [제주시론] 감귤왁스코팅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2006-08-31 5829
342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관리자 2006-08-31 3009
341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목표량 ‘4만톤’ 관리자 2006-08-31 2981
340 감귤 총수입 2년 연속 6000억 돌파 (제민일보) 관리자 2006-08-31 274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