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04 15:27:38      ·조회수 : 2,526     

<p></p>
<font size="5"><b>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논란</b></font>

<font size="4" color="blue">특별도의회 "실현 가능성 희박"

제주도 "FTA대비 경쟁력 향상"</font>

<font size="3">한라일보 12/4 백금탁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가 추진중인 미숙감귤을 이용한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사업에 대

해 도의회 차원에서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하지만 제주도는 현재 이 사업과 관련 미국의 MIT공대와 공동연구하고 있는 국책

사업이라고 맞서고 있다.

 3일 제주도의회 현우범 의원과 국내 연구진, 감귤 관련 전문가 등은 제주자치도

가 올해부터 오는 2010년까지 4년간 총 10억9천만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에 대해 이

미 1980년대에 연구된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이 사업과 관련 제주도는 최근 FTA와 WTO 등 농산물 개방에 따른 국제 경

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감귤 기능성물질 산업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제주도는 미

숙감귤의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추출하고 여기에다 첨단 바이오기술을 적용해

기능성 식품, 의약품, 화장품 원료 등으로 개발할 계획을 수립했다.

 감귤에 다량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등 고부가가치 기능성 물질을 변환기술(컨버터

기술)을 이용해 신기능성 물질을 개발, 산업화로 감귤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제주도는 1단계 기초조사와 2단계 산업화 연구개발 사업으로 나눠 모

두 10억9천만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제주대학교, 하이테크산업진흥원, 농업기술원,

MIT공대 등 국내·외 첨단연구팀이 공동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에 대해 현우범 의원은 지난 1일 2007년도 지식산업국 등에 대한 예산

안 심사에서 "올해 확보된 이 사업의 1단계 '감귤기능성 물질 산업화 가능성 조사연

구'에 대한 사업비 1억원은 카이스트 연구진과 감귤전문가 등을 통해 확인한 결과 2

천만원이면 충분히 가능한 것"이며 "제주도가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이 사업

은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지적했다.

 또 현 의원은 "특히 제주도가 개발하려는 기능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헤스페리

딘, 나리루틴, 노빌레틴 등은 감귤이외에 다른 식물 등에도 다량 함유된 물질"이

며 "도내 감귤박에 대한 전문가를 통해서 확인한 결과 이 연구는 이미 지난 80·90년

대 중반에 이뤄진 것으로 실효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처럼 이 사업과 관련 논란이 제기되며 실효성 문제에 있어 정확한 재검토와 함

께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59 "비상품 발생 비율 높을 것 추정" 관리자 2006-09-04 3523
358 "8번과 규격 상향 수용불가" 관리자 2006-09-04 3991
357 왁스코팅 규제완화 주목 관리자 2006-09-04 3036
356 한·미FTA 3차협상, 감귤 사수 ‘분수령’ 관리자 2006-09-04 3206
355 감귤·도새기·광어’ 지리적표시 가능 관리자 2006-09-04 3517
354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시동 관리자 2006-09-04 2641
353 “시장자율에 맡기는 게 바람직” 관리자 2006-09-04 5901
352 [kbs보도자료]감귤 총수입 2년연속 6천억 돌파 관리자 2006-09-01 2881
351 정부 경영회생사업...제주지역 홀대 관리자 2006-09-01 3551
350 도내 1차산업 조수입 크게 늘어 관리자 2006-09-01 2673
349 서귀포시 저급품감귤 유통행위 강력 단속 관리자 2006-09-01 2575
348 고품질 감귤 생산 '불량감귤 퇴출시켜야' 관리자 2006-09-01 3397
347 불량감귤 열매솎기 뒷북대응 관리자 2006-09-01 3550
346 토양피복재배사업 도 지원 기대 이하 관리자 2006-09-01 3339
345 불량감귤 열매솎기 다짐결의대회 개최 관리자 2006-09-01 3110
344 "고품질 감귤생산 토양피복재배사업으로 승부" 관리자 2006-08-31 2831
343 [제주시론] 감귤왁스코팅 어떻게 할 것인가 관리자 2006-08-31 5875
342 농림부 직접보조사업 축소 재고돼야 관리자 2006-08-31 3054
341 올해 불량감귤 열매솎기 목표량 ‘4만톤’ 관리자 2006-08-31 3034
340 감귤 총수입 2년 연속 6000억 돌파 (제민일보) 관리자 2006-08-31 279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