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4-28 09:49:53      ·조회수 : 2,282     

감귤농가들, ‘공생’ 생각할 때다

한라일보 2006년 04월 28일
감귤원 간벌 실적이 저조하다. 간벌 참여 농가들을 위해 각종 인센티브까지 내걸고 있지만 제주도와 시·군이 정한 간벌 목표량에 크게 못미치는 상황이다. 뭔가 크게 잘못돼 가고 있는 것이다.

 올해 2분의 1 간벌 계획 면적은 도 전체적으로 1천70ha다. 하지만 추진 실적은 6백여ha에 불과하다. 시·군별 추진실적도 55∼58% 수준으로 거의 비슷하다. 어느 특정지역을 탓할 상황이 아닌 것이다.

 당국은 간벌 실적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가 지난 2년간 감귤가격이 비교적 좋았던 관계로 올해에도 그러지 않겠느냐는 기대심리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그런 측면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게 전부는 아닐 것이다.

 당국이 먼저 솔직해져야 한다. 자치단체가 펼치는 정책에 농가가 따르기만 하면 제값을 받을 수 있는 것인지 답할 때가 됐다는 뜻이다. 한계가 있다면 그 한계를 가감없이 드러내야 한다. 그래야 농가들이 자구책을 마련할 것이 아닌가.

 감귤은 생명산업이므로 무조건 살리겠다고 말만 앞세울 일이 아니다. 자치단체가 할 수 있는 일과 불가능한 일을 분명히 구분짓고 농가의 몫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도 전달해야 하는 것이다.

 당국이 일방적으로 감산 목표를 정해놓고 실적이 부진하면 농가 탓으로 돌리는 풍토도 개선해야 한다. 희생도 공평한 부담일 때 설득력이 있는 것이다. 무임승차 농가가 있다면 그에 따른 불이익이 더 크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보여주는 과감함도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간벌을 비롯한 관주도의 감귤생산량 감축 정책에 농가들의 전폭적인 신뢰가 따르지 않는 이유를 정확히 진단하고 감귤정책 전반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 한다. 자치단체가 감귤가격을 전적으로 책임지지도 않는 현실 아닌가.

 농가들도 이제는 고통을 함께 분담하고 과실도 더불어 누리는 ‘공생’을 생각해야 한다. 당국의 일이 있고, 농가가 할 일이 있다. 감귤의 위기는 끝나지 않았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39 감귤 조수입 2년 연속 6000억원 돌파(제주일보) 관리자 2006-08-31 3332
338 <나의의견>요즘 제주 감귤은 관리자 2006-08-30 3521
337 1번과 생산 불가피 주장 관리자 2006-08-30 2994
336 농림보조사업 축소 안된다 관리자 2006-08-30 3533
335 "감귤 제 값 받기 3년에 도전한다" 관리자 2006-08-30 2876
334 [보도]2005년산 감귤총수입 6006억원 2년연속 6천억 돌파 기획정보과 2006-08-29 2925
333 감귤선과 때 왁스 규제 완화해주오 관리자 2006-08-29 2969
332 ‘유통명령 재도입’농가 92.4% 찬성 관리자 2006-08-29 2551
331 감귤 마을 서울에 생긴다 관리자 2006-08-29 2731
330 감귤농가 “올해산 감귤 유통명령제 도입을” 관리자 2006-08-29 2938
329 제주감귤농협, 인터넷 경매 추진 관리자 2006-08-29 3793
328 회복 기조 속 국내·외 불확실성 변수 관리자 2006-08-28 2918
327 감귤 TRQ적용 FTA협상 난제 부상 관리자 2006-08-28 2595
326 감귤, FTA 넘기 ‘산넘어 산’ 관리자 2006-08-28 3076
325 [사설] 감귤 관세철폐 제외 꼭 관철돼야 관리자 2006-08-28 2657
324 "FTA 협상에 민간 의견 적극 반영" 관리자 2006-08-25 2421
323 "감귤 관세철폐 제외 대상 추진" 관리자 2006-08-25 2513
322 도내 친환경농산물 판로·유통체계 미흡 관리자 2006-08-25 2789
321 [기획]흔들리는 감귤농정 <하>선 고품질 후 행정지원 체제 시급 관리자 2006-08-25 2892
32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의견수렴 나서 관리자 2006-08-25 246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