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한라봉 명성 되찾자"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1-19 10:22:06      ·조회수 : 2,645     

<b><font size=5>
품질기준 준수 등 농가 자정운동</font></b><b><font size=4 color=blue>

한라봉 명성을 되찾기 위한 자정운동이 전개된다.</font></b>

2007.01.18 (한라일보)
<font size=3>
 제주농협본부와 제주도는 17일 농협경제상무, 행정시 담당공무원이 참석한 가운데 한라봉 등 만감류 출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2006년산 한라봉은 재배면적이 전년대비 24㏊ 증가한 1천1백28㏊, 생산예상량은 2천9백80톤이 증가한 1만8천2백80톤, 재배농가도 1백96호 늘어난 2천7백33호로 전체 만감류 생산농가 4천1백2호의 67%를 차지하고 있다.

 한라봉은 그동안 고접(가지접)을 이용한 품종갱신 농가의 바이러스 감염 등으로 수세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과수별 품질 차이가 심한 품종 특성과 일정수준의 비배관리 등 고도의 재배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나 재배농가가 급증하면서 농가별 품질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또 신맛이 강하고 맛이 없는 저급품 한라봉이 유통되면서 가격이 급락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농협은 한라봉 주산지 조합별로 한라봉 출하대책협의회를 개최하여 품질기준 준수 자정결의와 홍보현수막 부착, 신문광고 등을 통해 재배농가의 품질준수 붐을 조성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농가가 출하신청시에는 사전 당·산 샘플검사를 실시하여 상품규격만을 출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저급품 한라봉을 유통시키는 행위와 관광지 주변 차량판매상, 관광농원, 특산물판매점 등 취약지에 대해서는 감귤유통명령 이행점검원을 활용하여 단속을 강화하고 위반자에 대해서는 5백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기로 했다.</font>

고대용기자 dyko@hallailbo.co.kr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3057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851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308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853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857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228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714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847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951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3023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3074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278
307 감귤, 민감도 상위권 인정되나 관리자 2006-08-22 3320
306 하우스 감귤 착화량 확보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22 2683
305 올해산 감귤 운송계약 경쟁입찰로 관리자 2006-08-22 2707
304 [흔들리는 감귤농정] 정책추진 일관성 없어 관리자 2006-08-22 2705
303 [데스크 칼럼] 감귤 왁스코팅 논란의 주범 관리자 2006-08-21 3354
302 감귤 거점APC 지방비 ‘불안’ 관리자 2006-08-21 2941
301 감귤 협상예외품목 포함 ‘불안’ 관리자 2006-08-21 2755
300 감귤산업 시장 1兆 넘어 관리자 2006-08-21 4168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