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감귤 51만 2천톤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8-09-01 09:02:25      ·조회수 : 3,922     

올해산 노지감귤은 최저 49만 4천톤에서 최고 53만톤까지로 관측되고 있는 가운데 제주특별자치도는 51만 2천톤을 예상하고 있다.

이 수치는 지난해 생산량 67만8천톤 보다 24% 16만6천톤이 적고, 예년 평균 59만6천톤의 86% 수준이다.

당도는 6.7브릭스로 지난 2001년 이후 5개년 평균 5.7브릭스 보다 1브릭스 높아 맛이 좋을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감귤관측조사위와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 5월말 1차 관측 조사때 49만5천톤에서 51만 9천톤보다는 다소 늘어났다.

이번 2차 관측조사는 이달초 4백53군데 과수원을 상대로 열매를 일일이 확인하면서 실측조사를 통해 산출됐다.

도는 1차 관측 조사때는 꽃개화를 기준으로 산출돼서 예상량이 불투명 했는데, 이번에 열매를 대상으로 관측해 신뢰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태환 도지사는 29일 오후 도청 기자실에서 회견을 갖고 "도내 농가가 올해산 노지감귤값을 제대로 받기 위해선 도의 정책에 적극 동참해야 살아 남을 수 있고 소기의 성과를 거둘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올해는 감귤유통명령제가 발령기준(생산량 63만8천톤)이 되지 않아 법적 뒷받침이 안되는 만큼 농가들이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자구노력이 그 어느때 보다도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김 지사는 감귤 제값받기를 위해 행정에서는 ▷고품질 감귤 출하 및 비상품 감귤 유통행위 집중 단속 ▷서울·부산 등 도매시장 비상품 감귤유통 지도·단속활동 ▷비상품 감귤출하 등 감귤조례 위반 행위 출하자 추적 등의 활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감귤농가에는 ▷고품질 감귤 안정생산을 위한 감귤열매솎기의 철저한 실천 ▷비상품 감귤 출하금지 ▷감귤산업종사자들의 확실한 역할 분담등을 제시했다.

/오태현·표성준기자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319 “한·미 FTA 감귤피해액 조정” 관리자 2006-08-25 3043
318 노지감귤 ‘파풍망’ 적정규격 찾았다 관리자 2006-08-25 3850
317 유전공학기술 이용한 신품종 감귤 생산 한다 관리자 2006-08-24 3308
316 감귤유통명령제 공청회 관리자 2006-08-24 2853
315 감귤 신품종을 찾아라 관리자 2006-08-24 2856
314 하우스단감 연합사업 추진 관리자 2006-08-24 3228
313 하우스감귤 3년 연속 호조 관리자 2006-08-24 3712
312 제주산 하우스 감귤 판로난에 연합사업 추진…단가 9천원대 관리자 2006-08-23 2847
311 "비상품 감귤 집중 단속을" 관리자 2006-08-23 2950
310 [흔들리는 감귤농정] <중>부실한 명품 지키기 관리자 2006-08-23 3023
309 감귤 대기정화·관광유인 등 공익가치 2,499억원 관리자 2006-08-23 3073
308 하우스감귤 타이벡 멀칭 끝낸후 관리자 2006-08-23 3277
307 감귤, 민감도 상위권 인정되나 관리자 2006-08-22 3317
306 하우스 감귤 착화량 확보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22 2683
305 올해산 감귤 운송계약 경쟁입찰로 관리자 2006-08-22 2706
304 [흔들리는 감귤농정] 정책추진 일관성 없어 관리자 2006-08-22 2704
303 [데스크 칼럼] 감귤 왁스코팅 논란의 주범 관리자 2006-08-21 3352
302 감귤 거점APC 지방비 ‘불안’ 관리자 2006-08-21 2939
301 감귤 협상예외품목 포함 ‘불안’ 관리자 2006-08-21 2754
300 감귤산업 시장 1兆 넘어 관리자 2006-08-21 416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