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6-08 09:26:05      ·조회수 : 3,139     

올해산 노지감귤의 품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개화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센터장 김명환)가 조사 발표한 과일관측 자료에 따르면 개화기 저온이 지속되면서 노지감귤의 최초 개화일과 만개일은 평년보다 각각 7일 늦은 지난 5월 14일과 5월 22일로 조사됐다.



올해 노지감귤의 꽃수는 해거리 현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의 전체 생산량은 적정 생산량인 58만t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작년보다 29% 증가했고, 제주시가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4% 감소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은 출뢰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이 짧아 꽃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처럼 평년보다 개화시가가 늦어지면서 생리낙과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6월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더뎅이병 감염 위험이 높은 데다 강풍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궤양병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차 생리낙과가 진행되면서 검은점무늬병 1차 방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는 이와 관련, “앞으로 1·2차 자연 낙과와 비대기 및 수확기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화가 있겠지만 품질 관리를 위한 농가들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이 지난달 11일부터 20일까지 조사요원 336명을 동원해 도내 감귤원 457곳을 표본으로 화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60만4000~64만8000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적정 생산량 수준인 58만t과 비교하면 최소 4.1%, 최대 11.7% 많아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수치다.



문의 농촌경제연구원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336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99 감귤·축산 윈윈전략 관리자 2006-08-21 2882
298 무더위 계속..감귤 明暗 관리자 2006-08-21 3100
297 [기고]싱거운 하우스 감귤 관리자 2006-08-21 2877
296 하우스감귤은 되고 노지감귤은 안되고... 관리자 2006-08-21 3230
295 지난 6월 성산읍 우박 피해 농가 지원 확정 관리자 2006-08-21 3101
294 특별자치도 감귤정책 ‘재탕’에 ‘오락가락’ 관리자 2006-08-21 3316
293 '감귤유통명령제' 도입- 농가 동의 여부 조사 관리자 2006-08-21 2781
292 무더위 지속에 감귤 비상품 만드는 일소피해 발생 관리자 2006-08-18 3685
291 제주지역조합공동사업법인 ·제주감귤농협 감귤거점유통센터 사업자로 선정 관리자 2006-08-18 4734
290 감귤생산관측 오차 '이유있다' 관리자 2006-08-17 2890
289 작목반별 찬반조사 참여 당부 관리자 2006-08-17 2665
288 [제주시론] 재래감귤을 재조명하자 관리자 2006-08-17 3536
287 칠레산 오렌지 국내상륙 ‘촉각’ 관리자 2006-08-17 3496
286 올해산 감귤 착과량 조사 실시 관리자 2006-08-17 3084
285 감귤선과장 품질검사원 추천해야 관리자 2006-08-17 3103
284 [사설] 왁스코팅 논란, 해결책 간단하다 관리자 2006-08-16 3267
283 감귤 개방 대응 ‘초비상’ 관리자 2006-08-16 4388
282 한·미,FTA 농산물 양허안 교환…감귤은? 관리자 2006-08-16 3205
281 감귤하우스 생산량 증가 기술 개발 관리자 2006-08-16 4024
280 감귤유통조절명령제 다시 도입, 농가 동의여부 조사 관리자 2006-08-16 2770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