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08-01 10:04:57      ·조회수 : 3,853     

감귤육종연구소 설립 관심…이달 초 판가름
道, 행자부에 특별배려 요청
제주일보 8/1 김재범 기자
제주 감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숙원사업인 감귤육종연구소가 설립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행정자치부는 내년도 소요정원 등을 판단, 빠르면 8월초 이 연구소의 설립여부를 확정할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도내 농업인들사이에서는 국내 다른 과일의 경우 1991년 각각 사과시험장, 배시험장 등 육종연구소가 설립돼 운영중인데 비해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는 육종 개발후 농가에 보급한 사례가 없어 감귤연구 전문기관 설립이 시급히 요구돼왔다.

이 때문에 제주특별자치도 등은 감귤의 다양한 신품종 육성, 육종 자원.재배.병해충 연구 등을 전담할 시설 필요성을 거론, 정부에 건의해왔다.

더구나 한국이 2002년 국제식물신품종보호연맹에 가입함에 따라 일본 등에서 육성된 감귤 품종을 도입할 경우 로열티 지급 등 농가의 경제적 부담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이에따라 최근 행정자치부와의 협의과정에서도 현재의 난지농업연구소 감귤과(16명)를 독립, 감귤육종연구소(5실 33명)로 설립해줄 것을 특별 배려해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도내 감귤산업은 농업 조수입의 51%, 지역 총생산액의 8.7%를 차지하는 생명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감귤 주산지 20개현에서 100년전부터 감귤연구소를 설치하고 있고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감귤품종(온주감귤 30품종, 만감류 15품종)은 대부분 일본에서 도입됐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79 20년내 감귤 주산지 바뀐다 관리자 2006-08-16 3424
278 감귤 왁스코팅 금지,도-농협 갈등 관리자 2006-08-14 2776
277 감귤 거점 산지유통센터 시동 건다 관리자 2006-08-14 2998
276 [열린마당]감귤 왁스 사용했다고 청정 이미지 훼손되나? 관리자 2006-08-14 4026
275 올해산 노지감귤 48∼51만톤 관리자 2006-08-14 3601
274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관리자 2006-08-14 3121
273 제주감귤농협, 감귤지도대학 신설 등 지도사업 확대 관리자 2006-08-14 3322
272 “하우스감귤값 상승세 계속” 관리자 2006-08-11 3062
271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관리자 2006-08-11 3002
27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행보‘가속’ 관리자 2006-08-11 3400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2997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337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086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2769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2762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2840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165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384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245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282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