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7-03-05 17:28:54      ·조회수 : 2,889     

<b><font size=5>

올해산 노지감귤 풍작 예상
</font>
입력날짜 : 2007. 03.05. 한라일보<font size=3>

서귀포농업기술센터 꽃눈분화율 조사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량은 풍작을 이뤘던 지난 1997년에 육박할 것 이라는 전망이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가 지난 2월 16~27일 사이 지역내 감귤주산지 12곳에 대해 꽃눈분화를 조사한 결과 평균 꽃눈분화율이 89.8%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조사대상 가운데 해안지역은 91.7%, 중산간지역은 88.7%의 꽃눈분화율을 보였다.

 지역별로는 대포 98%, 위미(해안가) 97%, 표선 96%, 위미(중산간) 93%, 용흥 92%, 삼달 90%, 화순 90%, 감산 88%, 신산 86%, 가시 85%, 성산 83%, 신풍 79% 이다.

 이처럼 꽃눈분화가 잘 이뤄진 것은 겨울철 평균기온이 예년보다 1.7~1.9도 높은데다 강수량도 122.4mm로 적어 겨울철 동화작용이 원활히 이뤄졌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또 지난해 2차 생리낙과시 나무 속 결과모지에 달렸던 열매가 생리낙과가 많이 이루어지는 속에 여름순 발생이 원활, 엽수가 많아지면서 꽃 필 자리에 양분집적이 잘 되었기 때문이다.

 꽃눈분화율이 1백17.8%를 기록한 지난 1997년의 감귤 생산량은 69만3천톤을 기록했다. 꽃눈분화율이 54.5%를 기록했던 지난 1996년에는 48만톤, 꽃눈분화율이 80.5%를 기록했던 1998년에는 54만3천톤이 생산됐다.

 서귀포농업기술센터는 올해 기상이변이 없는 한 생산량이 지난 1997년도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품질 감귤생산을 위해 간벌지도에 나서는 한편 예비지 설정 위주의 정지전정, 비상품과 위주 열매솎기·토양피복재배 등에 중점을 두고 지도해 나갈 계획이다.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79 20년내 감귤 주산지 바뀐다 관리자 2006-08-16 3469
278 감귤 왁스코팅 금지,도-농협 갈등 관리자 2006-08-14 2828
277 감귤 거점 산지유통센터 시동 건다 관리자 2006-08-14 3031
276 [열린마당]감귤 왁스 사용했다고 청정 이미지 훼손되나? 관리자 2006-08-14 4072
275 올해산 노지감귤 48∼51만톤 관리자 2006-08-14 3647
274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관리자 2006-08-14 3174
273 제주감귤농협, 감귤지도대학 신설 등 지도사업 확대 관리자 2006-08-14 3373
272 “하우스감귤값 상승세 계속” 관리자 2006-08-11 3110
271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관리자 2006-08-11 3040
27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행보‘가속’ 관리자 2006-08-11 3432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3013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387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134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2815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2797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2888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212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426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297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2875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