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올해산 노지감귤 품질관리 ‘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6-08 09:26:05      ·조회수 : 3,129     

올해산 노지감귤의 품질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과잉생산이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개화기 저온현상으로 개화 상황이 좋지 않은 데다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각종 병해충 발생이 우려되고 있기 때문이다.



7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센터장 김명환)가 조사 발표한 과일관측 자료에 따르면 개화기 저온이 지속되면서 노지감귤의 최초 개화일과 만개일은 평년보다 각각 7일 늦은 지난 5월 14일과 5월 22일로 조사됐다.



올해 노지감귤의 꽃수는 해거리 현상이 있었던 작년보다 21%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올해산 노지감귤의 전체 생산량은 적정 생산량인 58만t보다 많을 것으로 전망됐다.



지역별로는 서귀포시가 작년보다 29% 증가했고, 제주시가 겨울철 한파의 영향으로 작년보다 4% 감소했다.



특히 제주 서부지역은 출뢰에서 개화까지의 기간이 짧아 꽃이 충실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런데 이처럼 평년보다 개화시가가 늦어지면서 생리낙과량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더구나 6월 강수량이 많을 것으로 예보되면서 더뎅이병 감염 위험이 높은 데다 강풍 등 기상 상황에 따라 궤양병 발생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1차 생리낙과가 진행되면서 검은점무늬병 1차 방제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업관측센터는 이와 관련, “앞으로 1·2차 자연 낙과와 비대기 및 수확기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량 변화가 있겠지만 품질 관리를 위한 농가들의 세심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농업기술원(원장 고성준)이 지난달 11일부터 20일까지 조사요원 336명을 동원해 도내 감귤원 457곳을 표본으로 화엽비를 조사한 결과 올해산 노지감귤 생산예상량은 60만4000~64만8000t에 이를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적정 생산량 수준인 58만t과 비교하면 최소 4.1%, 최대 11.7% 많아 과잉생산이 우려되는 수치다.



문의 농촌경제연구원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336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79 20년내 감귤 주산지 바뀐다 관리자 2006-08-16 3422
278 감귤 왁스코팅 금지,도-농협 갈등 관리자 2006-08-14 2775
277 감귤 거점 산지유통센터 시동 건다 관리자 2006-08-14 2996
276 [열린마당]감귤 왁스 사용했다고 청정 이미지 훼손되나? 관리자 2006-08-14 4024
275 올해산 노지감귤 48∼51만톤 관리자 2006-08-14 3598
274 농경연 FTA 감귤 피해분석 “과소평가” 농가 반발 관리자 2006-08-14 3118
273 제주감귤농협, 감귤지도대학 신설 등 지도사업 확대 관리자 2006-08-14 3317
272 “하우스감귤값 상승세 계속” 관리자 2006-08-11 3061
271 한미 FTA 놓고 중앙·지방 시각차 ‘여전’ 관리자 2006-08-11 3001
270 감귤유통명령제 재도입 행보‘가속’ 관리자 2006-08-11 3398
269 [해설/한·미 FTA 감귤피해액 차이 왜?]중앙시각 ‘왜곡’ 때문 관리자 2006-08-11 2993
268 "정부 FTA 감귤 피해액 산출, 자의성 많다" 관리자 2006-08-11 3332
267 농협 ‘파워브랜드’로 개방파고 넘는다 관리자 2006-08-10 3084
266 감귤랜드 민자유치 감감 관리자 2006-08-10 2767
265 감귤원 작업로 설치 고령농가 호응 관리자 2006-08-10 2759
264 감귤왁스코팅 논란 "이제 그만" 관리자 2006-08-09 2839
263 불신만 재촉하는 道 감귤농정 관리자 2006-08-09 3162
262 ”명확한 입장정리 시급” 관리자 2006-08-09 2383
261 제주산 감귤 호주 진출하나 관리자 2006-08-09 3241
260 하우스감귤 포장중량 1.5~3㎏ 등 다양해졌다. 관리자 2006-08-09 28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