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홍보자료

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 작성자 : 관리자      ·작성일 : 2006-12-16 09:58:48      ·조회수 : 2,539     

<p></p>
<b><font size="5">농업정책 ‘땜질식 처방’ 질타 </font></b>

<font size="4" color="blue">도정질문, 밭작물 처리난 등 지적 </font>

<font size="3">제주일보 12/16 김태형 기자

매년 악순환되는 밭작물 처리난과 겉도는 비상품감귤 단속, 취약한 친환경 농산물

판로망 등 미흡한 농정정책이 도의회 도정질문에서 도마 위에 올랐다.

15일 열린 제234회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2차 정례회 3차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안

동우 의원은 “채소류 등 밭작물에 대한 정책이 제대로 시행되는지 의문”이라고 추궁

했다.

안 의원은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당근, 양배추, 감자 등 밭작물 산지폐기 등

에 투입된 공적자금만 100억원에 이른다”며 “해마다 반복되는 땜질식 처방으로 문제

를 해결할 수 있느냐”고 경쟁력 확보대책 수립을 촉구했다.

또 오충진 의원은 “비상품 감귤이 상인들의 손을 거쳐 인터넷 경매사이트를 통해 판

매되면서 제주감귤의 이미지를 흐려놓고 있으며 가격을 하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

고 있다”고 질타했다.

오 의원은 “하지만 이에대한 행정당국의 단속은 수수방관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농

·감협 등이 비상품감귤을 직접 수매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안 마련이 시급

하다”고 주문했다.

한기환 의원은 “친환경농산물인 경우 생산보다 판로 확보가 더 중요하고 도정 농정

정책도 이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며 “품목별 브랜드화와 함께 해외 수출길을 뚫어

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태환 지사는 “감귤은 금년까지 3년간 제값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내년

밭작물에 대한 도 전역 농업직불제가 적용될수 있도록 농림부와 협의하고 있으며 지

원 강화대책을 마련,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font>

홍보자료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219 감귤 예상량 주먹구구 산정 관리자 2006-07-31 3196
218 거점산지유통센터 제주 2개소 선정 관리자 2006-07-31 3117
217 감귤농협-난지연구소 감귤기술협력 체결 관리자 2006-07-31 3224
216 썬키스트 ‘오렌지’ 농산물홍보 美서 첫 도입 관리자 2006-07-31 3880
215 ‘블로초’ 역시 최고 감귤 브랜드 관리자 2006-07-25 3630
214 농정당국 제도개선 ‘미적미적’ 관리자 2006-07-25 2880
213 장마철 농작물 방제 ‘비상’ 관리자 2006-07-25 2931
212 땅속공기 농법에 이용 관리자 2006-07-25 3246
211 감귤 공동선별 공동계산제 활성화 관리자 2006-07-24 2885
210 고품질감귤 생산 농업인교육 성황리에 마무리 관리자 2006-07-24 2908
209 도의회`쟁점 관리자 2006-07-24 2957
208 한미 FTA 감귤 초미 관심사로… 관리자 2006-07-24 3025
207 “감귤 조수입 1조원 시대 열자” 관리자 2006-07-24 2936
206 성산읍 일대 대규모 우박 피해 '어쩌나' 고민 관리자 2006-07-24 3159
205 잔류농약 위반, 감귤 2.9%·쪽파 16.3% 관리자 2006-07-20 3181
204 <기고>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관리자 2006-07-20 2963
203 한ㆍ미 FTA 감귤협상품목 제외 노력 '무용지물'(?) 관리자 2006-07-19 2564
202 `감귤농가, 80% 이상 유통명령제 재도입 찬성 관리자 2006-07-19 3472
201 김재윤의원 "감귤개방은 제주경제 혼란" 관리자 2006-07-19 3085
200 한.미 FTA-제주도 감귤은 어찌되려나 관리자 2006-07-19 315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