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은 썩지 않는다…우리가 썩게 만들 뿐이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1-17 13:36:27      ·조회수 : 2,930     

<현해남 제주대 교수 생물산업학부/ 논설위원>

감귤은 잘 썩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세히 뜯어보면 감귤은 썩지 않는 과일이다. 우리가 썩게 만들 뿐이다.

감귤을 선물할 때 포장을 뜯어 썩은 감귤을 확인하지 않고 보냈다가는 큰 낭패를 당한다. 하우스 감귤은 더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썩은 감귤을 선물하면 안 준 것만 못하다. 선물을 받은 사람은 보낸 사람의 고마움은 기억하지만 감귤에 대한 인상은 흐려지기 때문이다.

흔히 감귤농가들은 감귤은 잘 썩고 어쩔 수 없다는 얘기를 한다. 그러나 1990년대에 안덕면 서광리 땅 속에 묻은 비상품 감귤을 몇 년 후 파보았더니 그대로 있었다. 그만큼 감귤은 잘 썩지 않는 과일이다.

40일이 넘는 긴 시간 동안 바닷길을 건너 영국으로 수출한다고 했을 때 모두 감귤이 썩어서 실패할 것이라고 걱정했다. 15일간 배를 타고 수출할 때도 썩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감귤은 트럭 타고 배에 실려 적도를 지나 파도에 휘청거리면서 영국에 도착했지만 부패율은 1%도 되지 않았다.

더 자세히 말하면, 올레팜 영농조합의 나재진 농가에서 작년 11월 13일 수확과 16일 선과를 거친 후 12월 28일 영국 템즈항에 도착했는데, 15kg 세 상자 당 2개가 썩었을 뿐이다. 460여 개 감귤 중에 썩은 것이 2개였으니 부패율이 0.4%에 불과했다.

감귤을 썩지 않게 하려면 몇 가지만 주의하면 된다.

첫째 수확할 때 상처가 나면 안 된다. 사과도 상처가 나면 썩는다. 배는 말할 것도 없다. 그래서 사과나 배를 수확할 때는 상처가 나지 않도록 정성을 다 한다. 그러나 감귤은 많이 따는 것이 자랑이다. 상처가 나든 말든 날카로운 일본산 수확가위로 싹둑싹둑 자르면서 수확 컨테이너로 내던진다. 그래서 썩는 것이다.

2010년도에 영국에 시험 수출할 때 제주에서 이름만 대면 알아주는 농가가 관행으로 수확한 감귤은 10~20% 이상 썩었다. 반면 끝이 무디고 상처를 주지 않는 스페인산 가위로 조심스럽게 수확한 감귤은 부패율이 겨우 3~8% 내외였다.

둘째, 비가 오거나 이슬이 맺혔을 때 수확하면 썩는다. 표면에 붙어 있던 부패균이 표피의 세포막을 뚫고 침입하기 좋은 조건이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감귤 표면에 물이 없을 때 수확하면 썩지 않는다.

셋째, 수확 즉시 소독하면 썩지 않는다. 감귤이 나무에 달려있을 때는 부패균에 대한 저항력이 있다. 그러나 나무에서 분리된 후 병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수확 즉시 샤워시키듯이 소독해 부패균을 살균해야 한다. 살균시킨 감귤을 저장고에 넣으면 몇 달이 지나도 썩지 않는다. 지난여름에 실험한 하우스 감귤은 3개월간 저장했는데도 썩은 것을 찾아볼 수 없었다.

넷째, 그래도 썩은 감귤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선과하기 전에 암실에서 썩은 감귤을 골라내면 부패율은 뚝 떨어진다.

다섯째, 선과하는 과정에서 이마자릴 부패방지제를 사용하면 썩은 감귤의 부패균이 다른 감귤로 옮기지 않는다. 영국으로 40일간 운송된 상자를 열었을 때 썩은 감귤은 하얗게 곰팡이가 피었지만 그 옆의 감귤은 멀쩡했다.

마지막은 상자다. 전 세계적으로 과일상자는 오픈 박스다. 과일이 숨을 쉬어야 하기 때문이다. 강도도 세야 한다. 외국으로 수출하는 감귤상자는 최소한 어른 열 사람 무게인 700kg 이상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오랜 운송기간을 견딘다.

감귤을 수출할 때 앞에서 얘기한 것 중에 하나만 잘못 되어도 부패율은 30%를 웃돈다. 국내 유통 감귤도 여섯 가지만 잘 지키면 절대로 썩지 않는다. 40년 이상, 가위로 껍질에 상처를 내고 툭툭 던지면서 수확하는 습관이 감귤은 잘 썩는 과일이란 오해를 낳았다. 감귤은 결코 잘 썩지 않는 과일이다. 단지, 우리가 감귤이 썩도록 관리하기 때문에 썩는 것이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 직불제 실천 감귤원 꽃눈 대박 기획정보과 2010-03-24 1930
155 제주감귤 영국 수출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0-03-24 2049
154 감귤 미국 전지역 수출 길 열린다 기획정보과 2010-03-24 1953
153 제주'비타민C'외교,남북교류 모범사례'우뚝' 기획정보과 2010-03-15 2144
152 제주산 감귤 아이스크림 괌 수출길 오른다 기획정보과 2010-03-15 2510
151 2010년도 노지감귤 부농프로젝트 본격 추진 기획정보과 2010-03-15 2110
150 감귤향 등 다양한 맛과 향의 차 선보여 기획정보과 2010-03-15 2049
149 '제주마씸' 서울 전문매장 확충 기획정보과 2010-03-02 2314
148 감귤먹은 '행복한 광어' 기획정보과 2010-03-02 2027
147 서귀포시, 소규모 저온저장고 시설 지원 기획정보과 2010-03-02 2031
146 감귤하우스 비상발전기 70대 지원 기획정보과 2010-03-02 2047
145 제주산 감귤 막걸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3-02 1894
144 올해 농작물재해보험사업 가입신청 22일부터 기획정보과 2010-02-22 2242
143 감귤부산물 인공피부 소재 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2042
142 북한으로 가는 제주감귤 출발 기획정보과 2010-02-22 1816
141 [제주]감귤로 의료용 인공피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66
140 사랑과 평화의 감귤 12년째 북한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14
139 애물단지 감귤박 친환경 자원으로 기획정보과 2010-02-22 1748
138 도, 고품질 감귤 위한 '방풍망시설지원' 기획정보과 2010-02-22 1850
137 제주 감귤 올해도 북한 간다 기획정보과 2010-02-22 179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