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오렌지 수입 주춤...노지감귤 영향 미미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2-12 17:42:14      ·조회수 : 2,303     

올 들어 급증세를 보여온 오렌지 수입이 일시적인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제주산 노지감귤에 대한 영향력은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내년부터 한미 FTA(자유무역협정)이 발효돼 3월부터 관세 인하로 이어지면 수입 물량은 늘어날 것으로 보여 만감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이동필)이 조사한 수입과일 현황에 따르면 지난달 오렌지 수입량은 1136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166t에 비해 2.6% 감소했다.

전월에 1927t이 수입돼 전년 대비 46.7%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대조를 이루는 추이로, 오렌지 수입에 있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미국산 오렌지가 공급 지연으로 작년 대비 67% 줄면서 전체적으로 감소세로 전환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달 중 오렌지 수입량도 지난해 2734t에 비해 45% 줄어든 1500t 내외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칠레산 오렌지 재고가 늘어난데다 미국산 네이블 오렌지 공급도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 내년부터 발효될 예정인 한미 FTA도 오렌지 수입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미 FTA가 발효되면 3월부터 현재 50%인 관세율이 30%로 낮아지는 만큼 오렌지 수입도 당분간 줄어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농경연은 “한미 FTA 발효에 따른 관세 인하 시기 이전인 내년 2월까지 오렌지 수입량은 올해보다 다소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처럼 오렌지 수입이 일시적인 감소세를 보이면서 이달부터 출하 물량이 늘어나는 제주산 노지감귤 시세 형성에 있어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하지만 내년 3월부터 오렌지 수입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한라봉과 천혜향 등 만감류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실제 올 3월만 해도 오렌지 수입량은 4만5113t으로, 작년 2만9265t에 비해 54.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대형 유통업체가 오렌지 등 관세 인하 효과가 예상되는 미국산 과일을 직수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미국산 오렌지의 저가 공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고되고 있다.
* 문의 농경연 과일.과채관측팀 02-3299-4150
< 제주일보 김태형기자 >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56 감귤출하, 올해는 생각을 바꿔보자 기획정보과 2018-10-02 2308
1855 비상품감귤 유통출하 모니터링요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28 2358
1854 [열린마당] 고품질 감귤을 요구하는 소비자 기획정보과 2018-09-20 2532
1853 추석대목 노려 감귤 강제착색 등 '고개' 기획정보과 2018-09-20 2329
1852 감귤 지키기 위해선 '나'가 아니라 '우리'라는 인식 필요 기획정보과 2018-09-20 2209
1851 제주감귤산업 위협 오렌지 수입 급증 기획정보과 2018-09-13 2367
1850 도전! 노지 극조생감귤 부패과 Zero 기획정보과 2018-09-13 2141
1849 [시론담론]감귤 조수익1조원 달성을 위한 관건은 기획정보과 2018-09-13 2055
1848 제주국제감귤박람회,감귤의 미래 가치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9-13 2250
184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추석"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9-10 2092
1846 [열린마당]극조생 감귤 부패과'0'에 노력합시다 기획정보과 2018-09-06 2175
1845 이상기후 올해산 제주 노지감귤 비상품 줄이기 시급 기획정보과 2018-09-06 2408
1844 서귀포감귤박물관, 다양한 체험으로 관람객 '북적' 기획정보과 2018-09-06 2389
1843 감귤 재배지 확산.과수 과다 생산 대비해야.. 기획정보과 2018-09-06 2623
1842 [공고]2018년도 업무보조원 채용 공고 기획정보과 2018-09-04 2434
1841 과일시장 내외적 생존경쟁 심화 감귤산업 소비시장 선점해야 기획정보과 2018-08-27 2385
1840 덜 여문 열매들의 반란,'풋사과,풋귤, 풋콩'의 재 발견 기획정보과 2018-08-27 2357
1839 인구 및 1인당 감귤 소비량 감소 전망 생산량 늘려 수익 증대 한계 기획정보과 2018-08-27 2293
1838 감귤품질검사원 신고하세요.. 제주시 31일까지 기획정보과 2018-08-21 2481
1837 제주산 감귤 미숙과로 바이오소재 특허 획득 기획정보과 2018-08-21 208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