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 감귤 지원 대책 ‘실패’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0-27 17:31:49      ·조회수 : 2,144     

강석호 의원 “감귤 산업 고품격화에 역점 기울여야”

[메디컬투데이 고희정 기자] 한미FTA 타결로 인한 직접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돼 온 제주도산 감귤의 생산량 감소 정책이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수산식품위원회 소속 강석호 의원(한나라당)은 15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한미 FTA 협상타결에 대한 농축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집중 질의했다.

강의원은 이 자리에서 폐원지원 대상인 노지 감귤 재배면적이 폐원지원금을 지급한 2005년에는 1만9086ha였으나 지난 2009년에는 1만8,279ha로 807ha 감축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생산량은 2005년 60만511톤에 비해 지난해 65만4794톤으로 5만4283톤, 농가수도 2만4673호에서 2만5024호로 351농가가 각각 늘었다고 덧붙였다.

강 의원은 “폐원지원금을 받고도 일부 농가들이 감귤 나무를 옮겨 심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하며 “품질이 떨어지는 비상품 감귤 출하 행위에 대한 강도 높은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됐다.

또 강 의원은 “이 같은 총체적 문제점에 따라 제주도가 감귤안정생산직불제, 열매솎기, 1/2 간벌 등 기존의 대책을 점검하고 FTA에 대비해 감귤산업의 고품질화에 역점을 기울일 것”을 주문했다.

한편 강 의원은 이밖에도 지난해 제주도 내 무우, 당근 등의 생산량이 21만6651톤으로 2008년 20만876톤에 비해 8.3% 늘었다며 과잉생산으로 인한 산지 폐기 등이 우려되는 만큼 대책을 세울 것을 지적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816 극조생감귤 부패과 줄이기 노력 절실 기획정보과 2018-06-21 1828
1815 올해 제주감귤재배면적 소폭 줄었다. 기획정보과 2018-05-11 2495
1814 제주 감귤가공산업 운영 최적화 방안 찾는다. 기획정보과 2018-05-11 2471
1813 제주산 감귤농축액 일본 수출 본격 시동 기획정보과 2018-04-06 2543
1812 미국산 오렌지 급증, 제주감귤 산업 '위협' 기획정보과 2018-04-06 2326
1811 노지감귤 생육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 기획정보과 2018-04-06 2549
1810 명품감귤 한라봉 명성 되찿는다. 기획정보과 2018-04-06 2443
1809 올해산 노지감귤 첫출하시기 농가자율 기획정보과 2018-03-26 2404
1808 제주 올해산 극조생감귤 첫출하 '농가 자율' 기획정보과 2018-03-26 2400
1807 감귤 첫 출하시기 4년만에... 기획정보과 2018-03-26 2308
1806 한미FTA 계절관세 철폐, 제주감귤 '직격탄' 기획정보과 2018-03-26 2387
1805 제주감귤 '불로초'3년 연속 대한민국 명품브랜드 대상 기획정보과 2018-03-26 2191
1804 제주 노지감귤 좋았는데 만감류는.. 기획정보과 2018-03-26 2288
1803 [제민포커스]충북.경기까지 확산 시장변화 주목 기획정보과 2018-03-12 2673
1802 [제민포커스]소비패턴 변화 대응전략 시급 기획정보과 2018-03-12 2436
1801 수박,참외가 벌써... 제철 사라진 과일 시장 기획정보과 2018-03-09 2281
1800 감귤 당산비 1% 오르면 가격도 0.8% 상승 기획정보과 2018-03-09 2362
1799 감귤 유기재배 매뉴얼 증보판 1000부 발간,보급 기획정보과 2018-03-09 2539
1798 서귀포지역 농협들'고품질 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8-03-09 2423
1797 올부터 미 오렌지 계절관세 철폐...제주감귤 '비상' 기획정보과 2018-03-09 210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