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전체회의결과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2-08 10:02:00      ·조회수 : 2,007     

감귤출하연합회 전체회의 개최 결과

󰏚 개최경위
○ 11월 들어 본격적으로 조생온주가 출하되면서 저장성이 좋고 품질이 좋아
10,000원대를 회복할 것으로 기대했었으나

○ 1일 4,300톤내외가 출하되고 심지어 21일에는 5,010톤이 출하되면서 소비가
둔화되고 품질과 맛과는 상관없이 가격이 8,000원이하로 하락하고 있음에 따라
이에 따른 대책을 마련키 위함.

󰏚 회의결과
○ 노지감귤 출하량 조절
- 금년도는 640천톤이라는 과잉생산된 해이므로 가격이 조금 안 나오더라도
1일 4,000톤 가량은 출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음

- 4,000톤이하로 출하될시 처리를 못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며 2월이후
비가림 감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금년도는 처리만 잘되어도 다행이라 생각하는 농가가 많으며 과도한 출하
조절을 할 경우 감귤처리를 원만히 수행치 못할 수 있음.

- 1번과를 북한보내기로 처리하여 비상품 물량을 소진시키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북한보내기 및 군납감귤은 상품으로 하는게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음.

- 1번과는 소비자가 선호한다고 하여 시장에 출하할 것이 아니라 조례의
규정대로 가공용으로 처리하는게 바람직하며 대형선과장이 갖추어지면
당도위주의 출하체제가 가능할 것임.

- 8,000원이하로 떨어졌을 때 1단계로 10~15% 출하조절을 시도하는 등
단계별로 생산자 및 상인단체의 주도하에 농가 자율적으로 감축하여
출하키로 함.

- 지금까지는 감귤의 맛만 좋으면 생산량이 많아도 무난히 처리가 될
것이라고 알고 있었는데 앞으로 감귤생산량이 많을 때를 대비하여
수출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임.

⇒ 따라서 강제적인 출하조절은 어렵지만 8,000원이하로 떨어질시
자율적으로 조합별 10~15% 감축하여 출하하기로 결의


○ 비상품감귤 지도단속 강화
- 농가가 의도적으로 상인에게 팔기 때문에 근절이 안되고 있으며 근본적으로
밀식 과수원 정리, 품종개신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생산량을 줄이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

- 비상품 감귤은 11월 29일 현재 392건으로 08년동기 대비 236건보다 156건이
많지만 비상품감귤이 출하되는 것을 보면 단속건수를 높이는데만
치중한다는 의견이 많음.

⇒ 따라서 근본적으로 비상품감귤은 농가차원에서 상인에게 팔지 말아야
하고 행정에서는 비상품 감귤을 철저히 단속강화해 줄 것을 주문

○ 감귤 소비확대를 위한 감귤의 효능성 홍보강화
- 고품질 출하 영상물 제작 방영
- 지역방송사별 고품질 출하 캠페인 방송 전개
- 감귤의 소비확대를 위한 홍보강화
․ 방송사 기획프로 제작 방영(생로병사의 비밀)
- 김연아, 양용은 등 유명인을 활용한 감귤홍보 확대

⇒ 소비촉진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여 조합별로 홍보해
나가기로 하였음

○ 기타사항
- 유통조절명령제 시행으로 인해 농가들의 의식이 나태해져 자구노력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앞으로 선별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음.

전체회의결과1201.hwp 다운로드1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96 '감귤바이오겔', 혈관치료 의료용 소재로 '합격점' 기획정보과 2018-03-09 2130
1795 제주 감귤원 축구장 2681개 면적 줄었다. 기획정보과 2018-02-20 2555
1794 한경농협 과수유통센터 준공 기획정보과 2018-02-20 2444
1793 제주농가 농업소득 5000만원의 꿈 기획정보과 2018-02-20 2274
1792 제주감귤농협, '한라봉'미국수출 본격화첫물량7톤 뉴욕지역 공급 기획정보과 2018-02-20 2322
1791 [열린마당]맛좋은감귤생산, 정지전정 기본에 충실 기획정보과 2018-02-20 2048
1790 [천자칼럼]제주 감귤의 역사 기획정보과 2018-02-13 2277
1789 새콤달콤 '이사금 경주봉'소비자에 큰 인기 기획정보과 2018-02-13 2311
1788 폭설과 한파 피해 신고기간 19일까지 연장 기획정보과 2018-02-13 2042
1787 제주산 귤피 산업화 기틀 만든다 기획정보과 2018-02-13 2256
1786 노지감귤 주산지 북상.. 40년 후부터 제주는 '부적지' 기획정보과 2018-02-09 2115
1785 제주도. 내달 12일까지 감귤원 원지정비사업 추가 연장 기획정보과 2018-02-09 2168
1784 '이산화탄소'이숑 고품질 하우스감귤 재배 기획정보과 2018-02-07 2298
1783 제주시. 1/2감귤원 간벌 대대적 추진 기획정보과 2018-02-05 2367
1782 국화꽃 진 자리에 감귤이 열렸다. 기획정보과 2018-02-05 2135
1781 [기고]2018년 감귤농업 경영 시작 1/2간벌로 기획정보과 2018-02-05 2291
1780 "극조생 품질 향상. 농가,행정 모두 노력해야., 기획정보과 2018-02-05 2113
1779 감귤 먹으면 피부미인 된다...성분보니 기획정보과 2018-02-05 2039
1778 극조생 감귤 품질 향상... 시기관리 잘 이뤄져야 기획정보과 2018-02-05 2317
177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설날"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2-02 2671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