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소비자 선호도 '사과'에 밀린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17 11:47:15      ·조회수 : 2,135     

농촌경제연구원 조사 결과...감귤 소비 작년과 비슷, 수요 확대 절실

2009년 11월 17일 (화) 김태형 기자 kimth@jejunews.com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권 소비자들의 신선과일 구입 선호도에 있어 감귤이 사과에 밀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올해 생산량은 크게 늘어났지만 소비량은 작년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고 있어 감귤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소비 증가를 위한 수요처 확충 방안이 절실해지고 있다.

1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이달초 서울과 경기, 부산, 광주, 울산, 인천, 대구, 대전 등 8개 지역의 소비자 패널 560명을 대상으로 과일 소비자 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난달 가장 많이 구입한 신선과일’로는 사과가 33.6%로 가장 많았다.

감귤은 18.1%로 2위를 차지했으나 전체 비중에 있어 사과의 절반 가까운 수준에 그쳤다. 이어 단감 13.1%, 포도 11%, 배 10.4% 등의 순이었다.

구입 횟수로는 사과, 감귤, 배 순으로 조사됐는데, 사과와 감귤인 경우 ‘월 2회’가 각각 35%, 32%로 가장 많았다.

작년 대비 과일 소비량 변화 조사에서는 사과가 ‘늘었다’ 37.7%, ‘비슷하다’ 49%, ‘줄었다’ 13.2% 등으로 전반적으로 늘거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감귤은 ‘비슷하다’ 49%, ‘늘었다’ 29%, ‘줄었다’ 22% 등으로 전반적으로 소비량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분석됐다.

감귤 소비를 줄인 이유로는 ‘대체과일이 많아서’가 38%에 달했으며 소비를 늘린 이유로는 ‘맛이 좋아서’가 38%로 조사됐다.

신선과일 구입시 가장 많이 고려한 사항으로는 ‘계절과일’ 34%, ‘가족이 좋아하는 과일’ 27%, ‘당도 등 품질이 좋아’ 19%, ‘가격이 저렴’ 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귤이 계절과일인데다 올해산인 경우 당도 등 품질이 좋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 앞으로 소비 증가를 기대할 수도 있으나 생산량(64만t 추정)이 작년보다 23% 많다는 점에서 낙관적으로 전망하기는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로볼 때 올해산 감귤의 제값받기를 위해서는 맛이 좋은 이미지를 앞세워 소비자 구매를 확대할 수 있는 다각적인 소비시장 확충 대책이 뒷받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농협 제주지역본부는 올해산 감귤에 대한 TV홍보에 적극 나서는 등 소비 촉진방안을 적극 추진하는데 주력키로 했다. <김태형 기자>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78 극조생 감귤 품질 향상... 시기관리 잘 이뤄져야 기획정보과 2018-02-05 2380
177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설날"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2-02 2746
1776 겨울보약 '귤' 하루 2개면 충분 기획정보과 2018-02-01 2072
1775 '꼬마감귤'인기...상품 기준 변경 정착 기대 기획정보과 2018-02-01 2734
1774 제주시 감귤원 1/2간벌 '스타트' 기획정보과 2018-02-01 2522
1773 3년 연속 제주감귤 제값받기 총력 기획정보과 2018-01-31 2492
1772 감귤나무 뿌리째 뽑아 다시 심는 이유는... "맛있는 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8-01-30 2400
1771 FTA 대응 2018년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8-01-30 2103
1770 [사설]고품질,적정생산 좌우, 감귤 간벌 동참 하자. 기획정보과 2018-01-29 2081
1769 감귤재배, 노지온주 중심서 만감류로 다양화 기획정보과 2018-01-29 2248
1768 "제주 감귤 소비 촉진 생존책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8-01-29 2473
1767 제주 세계평화의 섬 13주년.."제주감귤, 남북교류 '비타민C 외교'". 기획정보과 2018-01-29 2263
1766 제주 만감류 소비 부진 '어쩌나' 기획정보과 2018-01-29 2161
1765 노지감귤값 사상 최고인데, 만감류는... 기획정보과 2018-01-29 2304
1764 젊은 농업인들 감귤재배 관심 많다. 기획정보과 2018-01-29 2230
1763 이제 감귤도 전라북도 시대! 기획정보과 2018-01-24 2293
1762 대중매체 통한 '감귤홍보'강화 기획정보과 2018-01-24 2334
1761 감귤가격 호조에 농협 군납 딜레마 기획정보과 2018-01-24 2817
1760 도 농업기술원, 고품질 감귤 생산 간벌 기술지원 기획정보과 2018-01-24 2187
1759 고품질 감귤 생산.유통 우리가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8-01-18 234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