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 1번과’ 출하 찬·반 논란 제주 “소비자 반응 좋아” vs “허용 땐 소득 감소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0-12 09:28:10      ·조회수 : 1,907     

‘1번과를 상품으로 출하하게 해 주세요.’

제주 감귤 재배농가가 감귤 1번과 출하를 요구해 찬반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감귤 1번과는 횡경 51㎜ 이하의 작은 감귤로 제주도는 비상품으로 분류, 시장 출하를 금지하고 있다.

4일 제주도에 따르면 감귤출하연합회는 최근 감귤 1번과를 상품과에 포함시켜 줄 것을 제주도에 건의했다. 이에 따라 도는 농업인단체와 농·감협 의견수렴, 도민여론조사 등을 거쳐 최종 결론을 낼 계획이다.

제주산 감귤의 상품규격은 2002년산까지는 1(횡경 51㎜ 이하)~9번과(77㎜ 이하)로 정했고 0번과(46㎜ 이하)와 10번과(78㎜ 이상)를 비상품과로 분류했었다. 그러나 2003년 감귤유통명령제를 실시하면서 상품과를 2(54㎜ 이하)~8번과(70㎜ 이하)로 축소하고 대신 0~1번과와 9~10번과는 비상품과로 처리했다. 또 도는 2004년에 ‘감귤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와 ‘시행규칙’을 개정, 상품과를 2~8번과로 규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감귤 재배농가들은 감귤 1번과가 사실상 편법으로 시장에 출하되고 있으며 소비자 반응도 좋다는 주장이다. 반면 일부에서는 1번과 출하에 신중해야 한다는 반대 목소리도 높다. 1번과의 물량이 4만~5만t에 이르고 있으며 지난해의 경우 45만t 정도가 상품으로 출하됐는데 여기에 10%가 더해지면 감귤가격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도 관계자는 “1번과를 상품으로 출하하며 가공용으로 처리할 때보다 가격이 상승해 농가의 요구를 해소할 수 있으나 가공용이 4만t 정도 시장으로 유입되면 전체 감귤 소득은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778 극조생 감귤 품질 향상... 시기관리 잘 이뤄져야 기획정보과 2018-02-05 2327
1777 [알림]2018년 9대도매시장 "설날"휴장안내 기획정보과 2018-02-02 2736
1776 겨울보약 '귤' 하루 2개면 충분 기획정보과 2018-02-01 2062
1775 '꼬마감귤'인기...상품 기준 변경 정착 기대 기획정보과 2018-02-01 2724
1774 제주시 감귤원 1/2간벌 '스타트' 기획정보과 2018-02-01 2501
1773 3년 연속 제주감귤 제값받기 총력 기획정보과 2018-01-31 2482
1772 감귤나무 뿌리째 뽑아 다시 심는 이유는... "맛있는 감귤 생산" 기획정보과 2018-01-30 2372
1771 FTA 대응 2018년 고품질감귤 생산시설 현대화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8-01-30 2085
1770 [사설]고품질,적정생산 좌우, 감귤 간벌 동참 하자. 기획정보과 2018-01-29 2066
1769 감귤재배, 노지온주 중심서 만감류로 다양화 기획정보과 2018-01-29 2230
1768 "제주 감귤 소비 촉진 생존책 찾아야.. 기획정보과 2018-01-29 2463
1767 제주 세계평화의 섬 13주년.."제주감귤, 남북교류 '비타민C 외교'". 기획정보과 2018-01-29 2252
1766 제주 만감류 소비 부진 '어쩌나' 기획정보과 2018-01-29 2139
1765 노지감귤값 사상 최고인데, 만감류는... 기획정보과 2018-01-29 2289
1764 젊은 농업인들 감귤재배 관심 많다. 기획정보과 2018-01-29 2220
1763 이제 감귤도 전라북도 시대! 기획정보과 2018-01-24 2267
1762 대중매체 통한 '감귤홍보'강화 기획정보과 2018-01-24 2323
1761 감귤가격 호조에 농협 군납 딜레마 기획정보과 2018-01-24 2807
1760 도 농업기술원, 고품질 감귤 생산 간벌 기술지원 기획정보과 2018-01-24 2161
1759 고품질 감귤 생산.유통 우리가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8-01-18 232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