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2-02-08 10:04:27      ·조회수 : 5,064     

감귤에 피해를 입히는 새로운 해충들이 발견됐다.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년 동안 실시한 ‘감귤에 발생하는 해충종류 및 분포조사’에 따르면 머리귀뚜라미 등 모두 10종의 해충이 새롭게 확인됐다. 이는 농촌진흥청 감귤시험장이 2000년에 보고한 감귤 해충종류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다. 당시 감귤시험장이 보고한 해충은 총 74종.

 도농기원은 작은뾰족민달팽이와 귤노랑깍지벌레·줄고운가지나방 등 새로운 해충들이 감귤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 해충은 과거에는 조사가 되지 않을 정도로 밀도가 낮았으나 근래 들어 눈에 띄기 시작했다는 것. 도농기원은 이 같은 원인에 대해 친환경 재배가 늘면서 해충이 서서히 증가한 것으로 추정했다. 하지만 이는 일부 포장에서만 발견됐으며 아직까지 피해가 미미해 방제 필요성은 없다는 설명이다.

 과거보다 피해를 증가시키는 해충도 나타났다. 귤녹응애와 화살깍지벌레·선녀벌레·볼록총채벌레·애넓적밑빠진벌레·차잎말이나방 등 13종의 해충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볼록총채벌레와 애넓적밑빠진벌레는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온난화로 겨울철 기온이 높아지면서 월동이 원활해지고, 이로 인해 번식력이 왕성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볼록총채벌레는 근래 들어 해마다 확산되며 피해를 심화시킨다는 지적이다.

 반면 피해가 감소하는 해충도 조사됐다. 귤응애와 뒷흰날개밤나방·꽃노랑총채벌레 등 3종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가온 하우스에서 주로 발견되는 꽃노랑총채벌레는 최근 고유가 추세에 따른 농가들의 어려움을 반영하고 있다. 농가들이 가온을 포기하면서 재배면적이 줄자 꽃노랑총채벌레 발생도 줄고 있다는 해석이다. 또 외래해충인 뒷흰날개밤나방은 유입 초기 2~3년 동안 피해가 심했지만 그후 천적 등이 생기면서 자연적으로 밀도가 감소한 경우다.

 송정흡 도농기원 연구사는 “새로운 해충에 대한 모니터링을 계속할 계획”이라며 “방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연구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 농민신문 제주 강영식 기자 >

제주도농기원, 새로운 감귤해충 10종 발견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336 감귤재배지,기후 온난화로 2070년대까지 증가 기획정보과 2015-08-31 2327
1335 농가.유통.행정 힘 모아 경쟁력 쑥쑥.. 기획정보과 2015-08-28 2050
1334 감귤5단계 품질 규격 적용시기 제각각 기획정보과 2015-08-27 2000
1333 제주-북한 교류협력 사업 물꼬 트이나 기획정보과 2015-08-26 1883
1332 국민과일.대학나무 '이젠옛말' 기획정보과 2015-08-26 1804
1331 1만5천톤 목표 대대적 감귤 열매솎기 기획정보과 2015-08-24 2428
1330 감귤,의무자조금 전환 순항 여부 주목 기획정보과 2015-08-24 1895
1329 감귤선과장 품질검사원 접수...달라진 규격 준수 점검 기획정보과 2015-08-19 2218
1328 노지감귤 출하예약제 첫 도입 성공 여부 '주목' 기획정보과 2015-08-19 1909
1327 제주 하우스감귤 '귤림원' 비행기 타고 괌으로 기획정보과 2015-08-19 2069
1326 하우스감귤, 8월 가격 소폭 하락할 듯 기획정보과 2015-08-10 1919
1325 반발->공감, 여론변화 감귤혁신...실행준비 본격 착수 기획정보과 2015-08-10 1986
1324 비상품 감귤 제로, 농업인 앞장선다 기획정보과 2015-08-07 1925
1323 제주감귤농협,명품감귤 위한 열매솎기 발대식 개최 기획정보과 2015-08-07 1894
1322 감귤혁신계획에 농심 반양 환영 기획정보과 2015-08-06 1824
1321 감귤혁신5개년 계획, 참고 사례 삼아야 기획정보과 2015-08-06 1966
1320 전국농민회 제주도연맹"감귤혁신안 계획 구제적으로 제해야" 기획정보과 2015-08-06 1829
1319 감귤 계통출하 70%로 높인다 기획정보과 2015-08-05 1856
1318 과정이 좋은 감귤 구조 혁신 5개년 계획 기획정보과 2015-08-05 2069
1317 감귤생존 정책,생산,유통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5-08-04 1904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