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한중FTA 본협상 코앞...제주 1차 산업'비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5-13 08:52:09      ·조회수 : 2,029     

한중FTA 본협상 코앞...제주 1차 산업'비상'

협상 기간 1년 이내 전망...피해액 1조 추정
연구용역 내달에야 나와 대응 기간 축소 우려
민감품목 선정 등 제주도 차원 중앙절충 시급 지적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본협상이 다음 달부터 열릴 것으로 예상돼 제주지역 1차 산업 대책 마련에 비상이 걸렸다.



12일 농협제주지역본부(본부장 김상오)와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따르면 한·중 양측 정부는 지난 4월 11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통상장관회담을 개최했다.



이어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에 서울에서 FTA 본협상에 앞서 농산물 등 민감한 분야의 처리방향을 논의하는 정부간 2차 사전협의를 열고 본협상 개시 일정을 결정한다.



2차 사전협의의 구체적인 일정은 오는 2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통상장관회담에서 확정될 예정이며 본협상 개시 일정은 다음 달이 될 것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속도로 내고 있는 한·중 FTA 본협상 기간이 1년을 넘지 않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어서 제주도 차원의 대응 전략이 시급한 현안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



실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원장 채욱)이 제주도 의뢰로 산출한 한·중 FTA에 따른 1차 산업 피해액(연간 9200억~9400억원)이 1조원에 육박하는 등 한·미 FTA보다 더욱 막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여기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원장 오세익) 조사 결과 2009년 말 현재 중국의 감귤산업은 96만t을 수출(세계 전체의 42.6%)하는 등 온주감귤 최대 수출국으로 자리를 잡은 데다 중국산 당근과 마늘, 양파 등의 국내 수입 증가도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상황이 이런 데도 현재 제주농협이 감귤을 비롯한 도내 1차 산업 피해와 이에 대책 마련을 위해 농촌경제연구원에 의뢰해 실시되고 있는 연구용역이 다음 달에야 최종 보고서가 나올 예정이다.



이 때문에 한·중 FTA에 대비한 종합적인 대응 기간이 더욱 축소될 우려를 낳고 있어 제주도 차원의 협상 품목 제외 또는 민감품목 선정 등의 대응전략 수립과 함께 대정부 절충 등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강덕주 제주농협 경제사업부본부장은 “다음 달 중으로 한·중 FTA에 대한 도내 1차 산업의 대응책을 제시해 줄 연구용역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며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품목별, 작목별 실천 대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문의 제주농협 720-1340.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96 "행정 오락가락하면 제주감귤 다 죽는다." 기획정보과 2015-07-15 1772
1295 제주도 정책 오락가락...감귤가공예산 ->녹차 포장으로 기획정보과 2015-07-15 1792
1294 고품질 감귤생산...열매솎기도 나무별 차별화 전략 기획정보과 2015-07-15 1951
1293 감귤 수출준비 착착... 현장 컨설팅 활발 기획정보과 2015-07-13 1803
1292 "감귤부산물시설 공사 계약 해지 부당" 기획정보과 2015-07-13 1920
1291 감귤농가 "하늘만 보는 상황" 기획정보과 2015-07-13 1656
1290 감귤정책 놓고 도의회-집행부 날선 공방 기획정보과 2015-07-09 1683
1289 감귤 혁신 정책 순서 바뀌었다...논쟁 기획정보과 2015-07-09 1733
1288 [올해 노지감귤 작황 지역별 큰 편차 기획정보과 2015-07-08 2058
1287 제자리걸음 걷는 감귤 군납(하)맛좋다 이미지 심어줘야 기획정보과 2015-07-08 1817
1286 감귤군납,풍작시 물량조절 수단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7-07 1854
1285 외국산 과일 수입증가,,, 제주감귤 직격탄 기획정보과 2015-07-07 1884
1284 감귤구조혁신, 새로운 것 아니... 새정책 도입해야 기획정보과 2015-07-07 1718
1283 외국산수입,메르스 여파 제주감귤가 하락 기획정보과 2015-07-07 1895
1282 비상품감귤수매 중단되나.. 기획정보과 2015-07-02 1733
1281 감귤 계통출하에 농협이 앞장서야.. 기획정보과 2015-07-02 1876
1280 제주도 비상품감귤 가공용 수매 불가 원칙 수정되나? 기획정보과 2015-07-01 1847
1279 플라즈마 기술로 감귤 저장 기간 늘린다. 기획정보과 2015-06-30 1992
1278 제주도농기원 감귤 신품종 전시포 확대운영 기획정보과 2015-06-30 1848
1277 제주도 한중 등 FTA대책... 조투입"최저가격 보장제"실시 기획정보과 2015-06-30 162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