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박물관 활성화대책 불구 2% 부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5 08:55:31      ·조회수 : 2,401     

감귤박물관 활성화대책 불구 2% 부족

만성적자에 허덕이는 서귀포시 감귤박물관이 지난해 적자 해소 및 관람객 유치 등 감귤박물관 활성화대책을 마련했으나 큰 성과를 보이지 못했다.
서귀포시 감귤박물관은 총사업비 253억 원(국비 67억 원, 지방비 186억 원)을 투입돼 지난 2005년 개관됐다.
그동안 테마의 한계성, 관람 메리트 부족 등으로 연간 서귀포 감귤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은 7만 명 안팎에 연간 관람료 등 수입은 2007년 6600만원, 2008년 6100만원, 2009년 6700만 원 선에 그치고 있다.
반면 인건비와 운영비 등 지출규모는 연간 7억 원 안팎으로 매년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감귤박물관은 지난해 관람객유치를 위한 감귤체험학습장에 빙떡, 케이크 만들기 등 체험프로그램 다양화 및 주변 농가와 연계한 감귤나무 지주제 도입 등 활성화 대책을 마련했다.
또한 뮤지업숍 매장을 확장해 하귤차. 쿠키 등 다양한 제품 시식 및 판매코너 운영, 금귤과 하귤 등 관상용 화분 판매, 감귤테마거리조성, 도내 타 박물관간 셔틀버스 투어 등을 계획했다.
이같은 노력에도 불구 지난해 방문객은 7만9300명으로 2009년 7만7000여 명에 비해 3% 증가하는데 그쳤다. 다만 수입액은 7700만원으로 2009년 6700여 만원보다 15% 증가했다.
서귀포시 관계자는 “지난해 판매품목의 다양화로 관람객은 크게 늘지 않았으나 수입액은 다소 증가했다”며 “지난해 마련한 활성화대책이 시작단계로 올해 홍보활동을 강화해 관람객 유치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감귤박물관 활성화대책 불구 2% 부족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36 도정 감귤정책 반발 확산, 도 "기조변합없다" 기획정보과 2015-05-19 1939
1235 600억 쏟아부은 감귤 조수입 급락 기획정보과 2015-05-19 1681
1234 "감귤산업 구조혁신"이번엔 믿어도... 기획정보과 2015-05-18 1976
1233 5월 서귀포 감귤꽃 향기에 흠뻑 빠지다. 기획정보과 2015-05-18 1864
1232 원희룡 지사의 감귤대책, 일선 농민들과 협치의 결과인가? 기획정보과 2015-05-18 1708
1231 "감귤구조혁신 계획 종민 희생만 강요" 기획정보과 2015-05-18 2150
1230 비상품 감귤 원천 봉쇄..."산지서 퇴출" 기획정보과 2015-05-15 1803
1229 도외출하 감귤 "관리 사각"방치 기획정보과 2015-05-15 2030
1228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폐지, 반발 심할 듯 기획정보과 2015-05-15 1756
1227 신규과원 통제? 이주민 감귤농사 지원"NO" 기획정보과 2015-05-15 1905
1226 제주,감귤 재배면적 중 국산 감귤품종 전체 1%밑돈다 기획정보과 2015-05-12 1860
1225 국민 비타민 "감귤데이"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1872
1224 제주시, 애월읍 납읍에 감귤 전문생산단지 조성 기획정보과 2015-05-12 1855
1223 감귤수송비 수백억 농가살림 악화 기획정보과 2015-05-12 1782
1222 제주 감귤재배 지형도가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5-05-11 1982
1221 국산 감귤품종 1%미만... 개발 시급 기획정보과 2015-05-08 1908
1220 제주지역 감귤 재배품종 지속 변화 기획정보과 2015-05-08 1815
1219 귤꽃 아트 콘서트"봄의 향연"..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기획정보과 2015-05-07 1875
1218 제주농협, 감귤 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1961
1217 제주"삼백초""감귤껍질"로 암(癌) 극복되나 기획정보과 2015-05-06 177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