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올해산 감귤 성패 농가의지에 달려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10-17 08:50:36      ·조회수 : 1,696     

최근 2011년산 감귤이 본격적으로 출하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거래가격은 작년보다 높게 책정되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올해산 감귤생산량이 지난해보다 많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철저한 생산량과 품질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농가들이 자발적으로 비상품감귤 차단에 대한 자구노력이 절실하다.

△최근 극조생 감귤출하 순조
최근 일주일(7~13일)간 평균도매가격은 10㎏당 2만400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1만9800만원보다 600원 정도 높은 가격을 보이는 등 순조롭게 출발하고 있다.
특히 올해산 감귤 예상생산량은 58만5000t으로 지난해산 48만500t보다 21.5%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다행히 올해산 노지감귤인 최근 9월부터 일조량이 많은 등 기후여건이 좋아 당도가 높아지는 등 품질이 크게 향상되면서 출하초기 가격지지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7~8월 육지지역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경쟁과일인 올해 사과생산량은 전년보다 7% 적었고, 배와 감귤은 전년보다 각각 1.4%와 1.0% 증가하는데 그쳤다. 더구나 수확기에 악기상 등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등 상품성이 떨어지면서 상대로 제주감귤의 상품성은 높아졌다.
제주도는 올해산 감귤생산량 58만5000t 가운데 80%인 47만t을 도외시장에 출하하고 19.6%인 11만5000t을 가공용으로 처리할 계획이다.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해야
올해 제주감귤 산업이 좋은 결실을 맺으려면 고품질의 감귤을 소비자에게 공급해 신뢰를 높이는 동시에 출하량 조절과 비상품 감귤 유통차단이 절실한 상황이다.
하지만 올해 9월부터 지난 13일까지 감귤유통 위반으로 24건을 적발해 129t이 폐기됐다. 특히 올해산 노지감귤이 자율출하로 결정되면서 올해 강제착색 행위가 9건(70.7.t) 적발돼 지난해 전체 7건을 넘었다. 또 미숙과 7건(35.4t), 품질검사미이행 4건(13.8t), 비상품유통 4건(9.1t) 등이 적발됐다.
강제착색 등 저급품감륭이나 비상품감귤이 유통되면 소비자들에게 불신을 심어주고, 출하량 조절이 힘들어지는 등 제주감귤산업의 경쟁력을 떨어뜨릴 우려도 낳고 있다.
김정호 서귀포시자치경찰대 수사팀장은 "대대적으로 비상품감귤 유통에 대한 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대상과 지역이 광범위하고, 수법도 교묘해지고 있다"며 "단속도 중요하지만 농가와 유통업체들이 자발적으로 비상품감귤 유통 차단에 자발적인 참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제민일보 김용헌 기자>

올해산 감귤 성패 농가의지에 달려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236 도정 감귤정책 반발 확산, 도 "기조변합없다" 기획정보과 2015-05-19 1912
1235 600억 쏟아부은 감귤 조수입 급락 기획정보과 2015-05-19 1660
1234 "감귤산업 구조혁신"이번엔 믿어도... 기획정보과 2015-05-18 1942
1233 5월 서귀포 감귤꽃 향기에 흠뻑 빠지다. 기획정보과 2015-05-18 1843
1232 원희룡 지사의 감귤대책, 일선 농민들과 협치의 결과인가? 기획정보과 2015-05-18 1688
1231 "감귤구조혁신 계획 종민 희생만 강요" 기획정보과 2015-05-18 2104
1230 비상품 감귤 원천 봉쇄..."산지서 퇴출" 기획정보과 2015-05-15 1780
1229 도외출하 감귤 "관리 사각"방치 기획정보과 2015-05-15 2001
1228 가공용 감귤 수매가 보전 폐지, 반발 심할 듯 기획정보과 2015-05-15 1713
1227 신규과원 통제? 이주민 감귤농사 지원"NO" 기획정보과 2015-05-15 1854
1226 제주,감귤 재배면적 중 국산 감귤품종 전체 1%밑돈다 기획정보과 2015-05-12 1845
1225 국민 비타민 "감귤데이"제정 추진 기획정보과 2015-05-12 1851
1224 제주시, 애월읍 납읍에 감귤 전문생산단지 조성 기획정보과 2015-05-12 1815
1223 감귤수송비 수백억 농가살림 악화 기획정보과 2015-05-12 1737
1222 제주 감귤재배 지형도가 바뀐다 기획정보과 2015-05-11 1960
1221 국산 감귤품종 1%미만... 개발 시급 기획정보과 2015-05-08 1872
1220 제주지역 감귤 재배품종 지속 변화 기획정보과 2015-05-08 1799
1219 귤꽃 아트 콘서트"봄의 향연".. 제주국제감귤박람회 성공 기원 기획정보과 2015-05-07 1842
1218 제주농협, 감귤 통합브랜드 제정 "난항" 기획정보과 2015-05-07 1940
1217 제주"삼백초""감귤껍질"로 암(癌) 극복되나 기획정보과 2015-05-06 172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