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감귤=제주특산’ 옛말 될라?…2030년 전북까지 북상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2-15 09:01:42      ·조회수 : 2,567     

감귤=제주특산’ 옛말 될라?…2030년 전북까지 북상

구성지 의원, “전북, 한라봉·키위 2030년 전략육성 품종 선택”

감귤이 제주에서만 생산되던 특산물 지위가 흔들리고 있다.


▲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 ⓒ제주의소리
남해안 지역에서 재배되기 시작한 한라봉이 2030년쯤에는 전라북도 지역에까지 재배될 것으로 예상돼 기후온난화에 대비한 새로운 연구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제주도의회 농수축·지식산업위원회(위원장 김도웅)는 14일 제279회 임시회를 속개, 제주도농업기술원으로부터 2011년도 주요업무를 보고받았다.

이날 구성지 의원(안덕, 한나라당)은 기후온난화에 대비해 새로운 연구·전략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구 의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감귤산업 변화 양상을 살펴 본 결과 노지감귤은 재배농가·면적이 확연히 줄어든 반면 하우스와 만감류 재배·수익이 급증하고 있다.

노지감귤은 재배 농가·면적의 감소량에 비해 조수익의 증가량은 30.6%에 그친 반면 하우스 감귤의 재배면적은 20%, 조수익은 49%나 증가했다.

특히 만감류 재배농가가 100.3% 증가하면서 재배면적은 137% 증가했고, 그 결과 조수익은 무려 482%난 증가한 게 눈에 띈다. 이러한 변화는 2009년 감귤 전체 조수익에서 하우스감귤과 만감류가 70%에 달할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구 의원은 “노지감귤 재배지 전환을 통해 하우스감귤, 만감류의 새로운 연구 및 지도·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 의원은 특히 “전라북도 농업기술원은 ‘2030농업 기후온난화 재편 전략보고서’에서 새 소득 작물로 한라봉, 참다래, 무화과(과일), 야콘, 인디언감자(식량), 아스파라거스, 오크라(채소 등) 난지, 아열대 작물도입 및 기술을 확립해 나가는 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제주의 전략 품종과 비슷한 것이 많아 제주와 경쟁이 불가피하다”며 농업기술원의 중장기 전략 마련을 주문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76 "강제 착색·비상품 감귤 반입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2-24 2014
1175 비상품 감귤 도매시장 유통 원천봉쇄 나선다 기획정보과 2015-02-23 2122
1174 대형마트 감귤매장 철수…감귤처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2 2239
1173 2015년 "구정" 연휴 휴장 안내 기획정보과 2015-02-12 2007
1172 설 앞두고 택배 전쟁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0 2075
1171 과잉생산·소비부진·시장개방'내우외환' 파고로 생존 불투명 기획정보과 2015-02-09 1991
1170 올해 감귤원 160ha 1/2간벌 추진 기획정보과 2015-02-09 2028
1169 한라봉 美수출길 열렸으나 살균·선별 과정 등 난제 많아 기획정보과 2015-02-06 2062
1168 감귤정책 선제적 대응능력 갖춰라 기획정보과 2015-02-04 1916
1167 "출하·경매 품질기준으로 혁신해야" 기획정보과 2015-02-04 1964
1166 불로초, 고품질 제주감귤 대표 브랜드 기획정보과 2015-02-04 1743
1165 생산량 감소 속 수입산 변수 부각 기획정보과 2015-02-03 1890
1164 수입산 과일·축산물 1차산업 충격파 기획정보과 2015-02-03 1761
1163 "감귤산업 재도약 산지경매제 필요" 기획정보과 2015-02-02 1751
1162 설 대목 '수입과일 역풍'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02 1940
1161 원희룡, “비상품 감귤 경매 할 수 없게 제도적 보완” 기획정보과 2015-02-02 2151
1160 "감귤 가공용 처리 24시간 가동해 달라" 기획정보과 2015-01-30 1938
1159 감귤·만감류 설 대목 기획정보과 2015-01-30 1900
1158 노지감귤 이어 한라봉 가격도 약세 기획정보과 2015-01-28 2117
1157 [제민포럼]농업강국들의 농업보호 정책 기획정보과 2015-01-27 2063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