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노지감귤 평균가 '사상 최고'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4-21 09:12:12      ·조회수 : 2,270     

노지감귤 평균가 '사상 최고'

道, 지난해산 잠정 집계...감귤류 조수입 3년 연속 6000억대

지난해산 노지감귤이 역대 최고 평균가를 기록하는 호조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 전체 감귤류 조수입도 3년 연속 6000억원 돌파가 확실시되고 있다.

19일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이달 현재까지 출하된 지난해산 노지감귤의 도매시장 평균 경락가격은 10kg당 1만3191원으로, 전년산(평균 9487원)에 비해 39%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그동안 가장 높은 시세를 보였던 2006년산 평균가(1만3026원)를 웃도는 역대 최고치로, 해거리 현상에 따른 생산량 격감으로 출하 초반부터 가격 상승 및 호조세가 이어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산 노지감귤의 월별 평균가를 보면 지난해 10월 1만5499원으로 가장 높았으며 같은 해 11월 1만3401원, 12월 1만3546원, 올해 1월 1만3020원, 2월 1만171원, 3월 1만1345원 등으로 초.중반 호조세가 지속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산 노지감귤의 사상 최고 평균가 경신은 노지감귤 조수입 회복세로 이어져 전년산 3532억원보다 크게 늘어난 4000억원 안팎에 이를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집계된 노지감귤 처리 물량이 47만7584t으로, 생산량이 적었던 2008년산 52만여 t에 비해 5만t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돼 2008년산 조수입(4150억원) 수준을 밑돌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산 하우스감귤 조수입이 700억원을 웃돌고 있는 데다 최근 한라봉과 천혜향 등 만감류의 가격 호조세를 감안할 때 전체 감귤류 조수입은 3년 연속 6000억원 돌파가 무난, 호조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제주도 관계자는 “지난해산 노지감귤 평균가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데다 하우스감귤 및 만감류까지 좋은 값을 유지하고 있어 전체 조수입 6000억원 돌파가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176 "강제 착색·비상품 감귤 반입 안된다" 기획정보과 2015-02-24 1959
1175 비상품 감귤 도매시장 유통 원천봉쇄 나선다 기획정보과 2015-02-23 2057
1174 대형마트 감귤매장 철수…감귤처리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2 2181
1173 2015년 "구정" 연휴 휴장 안내 기획정보과 2015-02-12 1957
1172 설 앞두고 택배 전쟁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10 2033
1171 과잉생산·소비부진·시장개방'내우외환' 파고로 생존 불투명 기획정보과 2015-02-09 1940
1170 올해 감귤원 160ha 1/2간벌 추진 기획정보과 2015-02-09 1987
1169 한라봉 美수출길 열렸으나 살균·선별 과정 등 난제 많아 기획정보과 2015-02-06 2013
1168 감귤정책 선제적 대응능력 갖춰라 기획정보과 2015-02-04 1842
1167 "출하·경매 품질기준으로 혁신해야" 기획정보과 2015-02-04 1909
1166 불로초, 고품질 제주감귤 대표 브랜드 기획정보과 2015-02-04 1692
1165 생산량 감소 속 수입산 변수 부각 기획정보과 2015-02-03 1849
1164 수입산 과일·축산물 1차산업 충격파 기획정보과 2015-02-03 1717
1163 "감귤산업 재도약 산지경매제 필요" 기획정보과 2015-02-02 1749
1162 설 대목 '수입과일 역풍' 비상 기획정보과 2015-02-02 1918
1161 원희룡, “비상품 감귤 경매 할 수 없게 제도적 보완” 기획정보과 2015-02-02 2106
1160 "감귤 가공용 처리 24시간 가동해 달라" 기획정보과 2015-01-30 1860
1159 감귤·만감류 설 대목 기획정보과 2015-01-30 1860
1158 노지감귤 이어 한라봉 가격도 약세 기획정보과 2015-01-28 2085
1157 [제민포럼]농업강국들의 농업보호 정책 기획정보과 2015-01-27 203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