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309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1016 올해(1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 51만 2000톤 예상 기획정보과 2014-05-28 1824
1015 하우스감귤 통합마케팅 강화 기획정보과 2014-05-28 1800
1014 감귤농협 FTA대응 감귤 수출 확대를 위한 선도농가 육성 교육 기획정보과 2014-05-23 1683
1013 하우스감귤 출하 초기 '호조세' 기획정보과 2014-05-20 2070
1012 제주농협, 감귤 대표 브랜드 공모...52건 접수 기획정보과 2014-05-19 1769
1011 농협 하우스감귤 계통출하 총력전 기획정보과 2014-05-16 2264
1010 올해 FTA기금 8개 사업 205억원 추진 기획정보과 2014-05-14 1924
1009 [동영상]감귤 신품종 기획정보과 2014-05-12 2224
1008 요즘 나오는 무가온 감귤 '카라향'을 아시나요 기획정보과 2014-05-09 2592
1007 올해 감귤 재배 면적 감소 기획정보과 2014-05-07 1794
1006 감귤명품화 국비 비율 여전히 낮다 기획정보과 2014-05-07 1772
1005 제주 올해 노지감귤 관측조사 실시 기획정보과 2014-05-02 1649
1004 감귤 브랜드명 통일..특일까 실일까 기획정보과 2014-05-01 2095
1003 "제주 감귤 대표 이름 도민 공모한다" 기획정보과 2014-05-01 2087
1002 하우스 첫출하... 기획정보과 2014-04-30 2223
1001 명품감귤사업단 본격가동 기획정보과 2014-04-29 2386
1000 감귤식품산업클러스터 시동건다 기획정보과 2014-04-28 1799
999 감귤 초보 농업인 제주농업기술센터로 오세요 기획정보과 2014-04-28 2367
998 올해(14년산) 노지감귤 봄순 발아 5일 빨라 기획정보과 2014-04-25 2029
997 제주형 명품 노지 감귤 나온다 기획정보과 2014-04-18 2147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