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1-01-28 09:24:13      ·조회수 : 2,113     

제주, 온주감귤 재배 100주년을 맞으며

양창희 서부농업기술센터 과수특작담당

올해는 제주도에 처음으로 온주(溫州)감귤이 들어와 재배를 시작한 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지난 1911년 들여온 온주감귤은 그동안 다양한 계층에서 고품질 생산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해 왔다. 이 노력으로 재배기술은 상당히 높은 수준에 올라와 있는 반면 우리에게는 과잉생산이라는 또 다른 위기가 도사리고 있다.

최근 노지감귤가격 형성과 농가소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소는 ‘적정 생산량’이다. 이는 최근 10년간 노지감귤의 생산량과 소득액이 ‘반비례’해왔음을 통해서 여실히 잘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올해 감귤 농업인들의 가장 큰 관심거리는 과잉 생산이 예상되는 감귤의 작황이다. 감귤재배 농가 측면에서는 많게 생산되면 소득이 낮은 반면, 인건비 등 비용은 많이 소요돼 농업인들의 소득 감소에 직결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이다. 특히 감귤은 다른 과수에 비해 해거리가 심한 과수로서 이변이 없는 한 금년 생산량이 많을 것이고 경기 침체영향으로 소비가 감소 할 경우 제값 받기가 어려울 수 있어 감귤농업인들의 걱정거리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은 밀식원 1/2간벌, 정지전정, 열매솎기 등 기본에 충실하고 고품질 감귤 생산을 위한 토양피복재배 실천 면적을 확대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우선 밀식원 1/2간벌을 철저히 해자. 1970~1980년대 감귤나무를 처음 심을 때 차후 한 줄을 베어낸다는 조건 하에 심었기 때문에 간벌은 반드시 실천해야 하며 과잉생산이 예상되는 올해가 간벌을 할 최고의 적기이다.

지금부터 시작이다. 과감한 실천을 못하고 망설이다 수확기에 가서 발등에 불이 떨어질 때는 이미 조치 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생명산업으로 자리잡은 감귤산업이 올해는 새로운 발전의 디딤돌로 서는 제주 온주감귤 100주년을 맞이했으면 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836 세계감귤박람회 창설...11월 서막 올린다 기획정보과 2013-07-23 2099
835 제주지역 농산물 공동 출하 붐 확산 기획정보과 2013-07-19 1838
834 기대가 큰 제주감귤 세계 명품화 사업 기획정보과 2013-07-16 1705
833 감귤 궤양병 확산 ‘비상’ 기획정보과 2013-07-11 2133
832 올해 노지감귤 생산량 52만5000톤 전망 기획정보과 2013-07-10 1936
831 서귀포 남원에 감귤거점산지유통센터 준공 기획정보과 2013-07-10 1868
830 하우스감귤 공동수확단 기획정보과 2013-07-02 1592
829 서귀포 세계감귤박람회 준비 본격화 기획정보과 2013-06-26 1577
828 호기심 많은 예비부부의 유쾌한 감귤 실험 기획정보과 2013-06-25 1763
827 하귀농협, 만감류감귤 재배기술 교육 기획정보과 2013-06-24 1845
826 월동하우스감귤 공선회-사업평가회 기회정보과 2013-06-20 2003
825 위미거점산지유통센터 개장 기획정보과 2013-05-13 1799
824 감귤 그리닝병 발생지 묘목 긴급 수입금지 기획정보과 2013-05-02 1878
823 13브릭스 고당도 감귤 '남진해' 출하...4~6월 재배 기획정보과 2013-04-12 2735
822 제주감귤 수출목표 1만톤 재도전 기획정보과 2013-04-12 1904
821 노지감귤 유통 마무리 기획정보과 2013-03-22 2272
820 만감류 품질향상이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13-03-22 1794
819 2012년산 노지감귤 도외 판매 계획보다 많아 기획정보과 2013-03-22 1666
818 국내가격 좋은데 수출은 왜?...감귤 수출, 목표의 36% 그쳐 기획정보과 2013-03-22 2297
817 난립 감귤 브랜드 통합되나 기획정보과 2013-03-22 1569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