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10-11-22 10:14:10      ·조회수 : 2,297     

제주 전통감귤 개발 및 육성의 당위성

양세완 21세기영농조합 법인대표

제주감귤이 아무런 변화 과정도 없이 대중화가 가능했던 것은 첫째 독점 생산이고, 둘째 쇄국적인 시장이고, 셋째는 감귤 소비를 지지해준 중산층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태생적인 것들이 부메랑이 돼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막대한 행·재정적 투자에도 불구하고 제주감귤이 FTA 앞에 무기력 할 수밖에 없는 것이 이를 뒷받침 해 주고 있다. 이것은 제주 감귤산업의 병을 제대로 진단하지 못하고 처방했기 때문이다.

한 때 진상품이였던 제주 감귤이 이번 추석에 상대과일과 품질 대비 과소평가돼 싼 값에 팔리게 된 것은 브랜드 개념 부족 등으로 타고난 가치(품질)와 품격(문화)을 무시하고 남의 것만 모방하다 개성(고유 맛)을 잃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개성이란 시각, 촉각, 후각, 미각(고유 맛) 영양이 풍부한 오감의 전통감귤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감귤과는 비교 할 수 없는 세계감귤의 톱 브랜드이고 제주감귤의 유일한 경쟁력이다. 제주에는 오감의 감귤을 재배 할 수 있는 조건(기후·물질· 환경)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오감의 감귤을 황금알로써 노지감귤 상품기준 50만t으로 마케팅(유통)만 뒷받침 해준다면 생산자수취가격기준 1조원을 훨씬 능가하는 규모의 감귤산업도 가능하다는 것을 2004년산 감귤에서 개인적으로 경험한바 있기 때문에 자신 있게 말 할 수 있다.

최근 속성 과일들이 소비자 기호(입맛)변화로 영양(웰빙)과일로 주력하는 것을 제주감귤 사회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서귀포 칠십리 감귤 정책이 실패하고 감귤 박물관이 적자 운영되고 있는 것도 1차산업 방식으로 재단되고 개량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오감의 전통감귤은 누구나 아무데서나 만들 수 없는 희소상품이기 때문에 제주의 보물이고 황금알을 낳는 최첨단 감귤산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776 고품질감귤 '천상천하'잘나간다 기획정보과 2012-11-28 1981
775 쪼꼴락 한입 감귤 기획정보과 2012-11-23 2480
774 피부는 뽀얗게, 뼈는 튼실하게..겨울철 대표과일 기획정보과 2012-11-19 1686
773 감귤선과장 등록제 본격시행 기획정보과 2012-11-19 1959
772 감귤 수확철 '뇌졸증 주의보'발령 기획정보과 2012-11-19 1644
771 제주감귤국제마라톤 서귀포로 초대합니다. 기획정보과 2012-11-13 1530
770 감귤철, 척추 건강 지키는 요령 기획정보과 2012-11-13 1778
769 내년도 FTA기금 지원으로 고품질 감귤 생산에 921억 투자 기획정보과 2012-11-07 1654
768 감귤따고 으슬으슬 감기인줄 알았는데...쯔쯔가무시증 주의 기획정보과 2012-11-06 2251
767 비상품 유통 감귤 제값받기 망친다 기획정보과 2012-11-05 1985
766 감귤출하량 조절은 불가피한 조치다 기획정보과 2012-11-05 2079
765 노지감귤 가격지지 대책 시급하다 기획정보과 2012-11-05 1685
764 감귤가격 안정유지 대책회의 기획정보과 2012-11-01 1913
763 '탑 프루트 한라봉'첫 생산 눈앞 기획정보과 2012-11-01 2323
762 '1번과 시장으로'...농심도 갈린다 기획정보과 2012-11-01 1986
761 "감귤 크기 아닌 맛 중심 정책 전환해야" 기획정보과 2012-10-24 2686
760 올해산 노지감귤 해외공략'스타트' 기획정보과 2012-10-24 2034
759 [기고]비상품감귤 유통행위는 소비자 기만행위 기획정보과 2012-10-15 1751
758 비상품감귤 유통 과태료 물어도 남는장사? 기획정보과 2012-10-12 1740
757 한중FTA 제주감귤 피해 막기 어렵다 기획정보과 2012-10-12 1682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