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농산물 알고 먹으면 맛과 건강이 두배!

공지사항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 작성자 : 기획정보과      ·작성일 : 2009-11-03 10:22:25      ·조회수 : 2,192     

지구온난화 '제주=감귤' 공식 깨지고 있다
타지역 자가소비 재배서 완도군 올해 첫 노지감귤 시장에 출하
도 2일부터 향후 타 지역 재배면적·생산량·시장여파 분석 돌입


 제주특산물인 감귤산업이 최근 지구온난화 영향 등으로 재배지가 타지역으로 빠르게 확산, 제주독점에서 경쟁체제로 변화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 완도군에 따르면 2008년까지 제주를 제외한 타지역 감귤 재배면적은 48.8㏊이며, 하우스 한라봉이 46.7㏊, 노지온주감귤이 2.4㏊로 조사됐다. 감귤 생산량도 510t이며, 한라봉 460t, 노지온주 50t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에서 한라봉은 2000년부터 재배됐지만 제주지역보다 생산량도 작고, 재배비용이 높아 제주산보다 경쟁력이 떨어졌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 무가온 한라봉 재배가 가능해지는 등 재배여건이 좋아지고 있다.

 타 지역 노지온주감귤은 1980년초부터 재배됐지만 자가소비용에 머물렀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지구온난화로 인해 타 지역에서 감귤재배 여건을 갖추면서 점차 노지온주 감귤산업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완도군은 자가 소비용으로만 재배했던 소완도 노지감귤을 올해부터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완도군은 최근 완도지역의 겨울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는 날이 적어 감귤재배에 적합하다고 밝히고 있다. 또 소안감귤은 새콤하고 달콤한 특유의 맛을 갖고 있고, 25일 이상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더구나 완도군은 앞으로 감귤을 소득특화작물로 육성하기 위해 감귤 작목반을 구성을 운영하고 있으며, 무농약 인증 획득과 고품질 재배기술, 마케팅 등 소안 감귤의 브랜드화를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앞으로 노지온주감귤 재배지가 전라도 완도뿐만 아니라 전남 여수·고흥·진도, 경남 거창 등으로 북상하면서 타 지역 감귤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도는 이에 따라 오는 2~6일 전라도와 경상도 등 타 지역 감귤 재배 및 유통실태 조사하고, 이후 재배면적 확대 예상 지역에 대한 별도조사에 나선다.

 도는 이번 조사에서 최근 변화된 감귤 재배지역과 면적, 노지감귤 묘목 구입선과 재배실태, 농가동향, 향후 전망 등을 분석한다.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제민일보 2009년 11월 02일 김용현 기자 noltang@jemin.com

공지사항 게시물 목록
번호 제목 첨부 작성자 작성일 조회
696 제주감협-농진청, 브랜드감귤대학 운영 기획정보과 2012-04-13 2270
695 글로벌 유통기업 '빅바이어' 제주 온다 기획정보과 2012-04-13 1842
694 제주선과장 비파괴 광센서로 바꾼다 기획정보과 2012-04-13 2014
693 한미FTA 발효후 오렌지값 하락(한라봉 등 제주감귤 생존 시험대) 기획정보과 2012-04-13 1599
692 "道 FTA 대응 방안 실효성 떨어진다" 기획정보과 2012-04-05 1809
691 감귤 당도 높이기 2단계 사업 추진 기획정보과 2012-04-05 2019
690 감귤 재해보험 '속 빈 강정' 기획정보과 2012-04-03 2873
689 사상 첫 감귤조수입 7000억원 돌파 기획정보과 2012-03-26 1577
688 정부에 감귤 농무관제 도입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26 1851
687 FTA 감귤산업보호 법제화 절실 기획정보과 2012-03-16 2319
686 무관세 미국 오렌지 수입 노지감귤 시장 교란 기획정보과 2012-03-16 2820
685 제주경제 피해규모 최소화 기획정보과 2012-03-16 2262
684 감귤 1만톤 수출 인프라 구축 관건 기획정보과 2012-03-09 2570
683 제주도 시장개방 대응 중앙절충 강화 기획정보과 2012-03-08 2251
682 고품질감귤 생산교육 농업인 관심 고조 기획정보과 2012-03-05 2961
681 제주 감귤식품 클러스터 육성 시급 기획정보과 2012-03-05 2522
680 11월 출하 브랜드 감귤 수입 짭짤 기획정보과 2012-02-29 5390
679 2012년산 감귤 간벌사업 시동...500ha 면적서 시행 기획정보과 2012-02-27 2318
678 제주지역 피해 현실화되는 한·미FTA 기획정보과 2012-02-27 1934
677 한중FTA 발효되면 10년간 감귤 1조6천억 피해 기획정보과 2012-02-21 4076
페이지당 표시 로 이동